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MKSDB / DB / 한일관계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Historical Materials

Article 19,598 Korean Studies Content 453 View with Viewer
Sort
By most recent record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19년 (1437)
    종정성이 본도에서 도망한 사람의 귀환을 청했으나 윤허하지 아니하다.
    종정성(宗貞盛)이 본도에서 도망하여 온 사람을 찾아 돌려보낼 것을 청하였는데, 그 글에 대략 이르기를, “본도의 백성 마삼랑(馬三郞) 등 26명이 배를 훔쳐 가지고 도망하여 나가서 산달포(山達浦)에 정박[到泊]하였사오니, 청하옵건대, 속히 돌려보내 주소…
    #종정성 #마삼랑 #산달포 #허조 #황희 #신개 #최사강 #하연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20년 (1438)
    최윤덕이 면천산성보다 서천성을 먼저 쌓을 것을 상언하다.
    영중추원사(領中樞院事) 최윤덕(崔閏德)이 상언하기를, “이제 면천산성(沔川山城)은 그 내부가 험하고 또 크다는 이유로 읍성으로 개축하고 있습니다. 대저 면천 밖에는 좌도도만호(左道都萬戶), 파지도만호(波知島萬戶), 탄지도만호(灘知島萬戶), 대진만호(大津…
    #최윤덕 #면천산성 #면천 #태안 #서산 #당진 #서천 #황희 #조말생 #면천읍성 #허조 #신개 #충청도 #전라도 #비인 #남포 #홍주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20년 (1438)
    예조로 하여금 의정부의 대신 및 첨지중추원사 이예와 더불어 대마주 왜인의 접대에 관한 사목을 의논하게 하다.
    예조로 하여금 의정부의 대신 및 첨지중추원사 이예(李藝)와 더불어 대마주(對馬州) 왜인의 접대에 관한 사목(事目)을 의논하게 하니, 예는 의논하기를, “왜인이 가지고 온 물건이 30바리 이하는 10일간 유관(留館)하게 하고, 40바리 이상은 20일간 머…
    #이예 #대마주 #안숭선 #윤형 #왜객 #권제 #황희 #허조 #이맹균 #신개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21년 (1439)
    종정성의 문인이 없이 온 구라사야문을 경중으로 올려 보낼 여부를 의논하다.
    종무직(宗茂直)이 보낸 구라사야문(仇羅沙也文) 등이 종정성(宗貞盛)의 문인(文引)도 없이 왔으므로, 의정부와 예조에 내려 경중(京中)으로 올려 보낼 여부를 의논하게 하니, 영의정 황희(黃喜)․우의정 허조(許稠)․우찬성 이맹균(李孟畇)․예조 참의 윤형(尹炯) 등…
    #종무직 #구라사야문 #종정성 #황희 #허조 #이맹균 #윤형 #종대선 #신개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21년 (1439)
    이예가 왜인 대내전과 통교하기를 아뢰다.
    첨지중추원사 이예(李藝)가 아뢰기를, “신이 계축년에 일본으로 사신 갔다가 돌아올 때에 해적을 만나서 진상하는 방물과 서류와 군인의 의복까지 다 약탈당하였고, 간신히 대내전(大內殿)에 이르니, 대내전이 술과 밥을 주고 또 빼앗겼던 것을 찾아서 주었습니다…
    #이예 #일본 #대내전 #황희 #허조 #신개 #대마도 #하연 #최사강 #민의생 #박안신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21년 (1439)
    왜인 진강차랑의 말한 바를 의논하다.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 이예(李藝)가 아뢰기를, “신이 진강차랑(津江次郞)에게 이르기를, ‘종정성(宗貞盛) 등이 본도(本島)에 편안히 살면서 그 생(生)을 즐기는 것은 오로지 우리나라의 은덕인데, 이것을 돌보지 않고 석견주(石見州) 등처의 잡인을 모…
    #이예 #진강차랑 #종정성 #석견주 #대내전 #삼포 #염포 #부산포 #내이포 #간지사야문 #서울 #대마도 #신개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23년 (1441)
    왜인이 고초도에서 고기 잡는 것을 허락하다.
    영의정 황희(黃喜)․좌찬성 하연(河演)․우찬성 최사강(崔士康)․병조 판서 정연(鄭淵)․예조 판서 김종서(金宗瑞)․우참찬 이숙치(李叔畤) 등이 의논하기를, “…… 왜인이 고기 잡기를 청하는 일에 이르러서는 지극한 심정에서 나왔으므로, 비록 허락하지 아니할…
    #황희 #하연 #최사강 #정연 #김종서 #이숙치 #지세포 #왜선 #종정성 #고초도 #신개 #대마도 #고려 #왜적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23년 (1441)
    우의정 신개가 왜인이 고초도에서 고기 잡는 일을 허락해서는 안 된다고 청하다.
    우의정 신개(申槩)가 예궐하여 아뢰기를, “고초도(孤草島)는 허락할 수 없습니다. 신이 어제 상세히 진술하였사오나 윤허를 받지 못하였사온데, 신이 밤새도록 생각하와도 이를 허락할 수 없는 것입니다. 이제 만약 허락하오면 뒤에 반드시 뉘우침이 있을 것이옵…
    #신개 #고초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24년 (1442)
    사역원 녹관들에게 원내에서는 중국말만 쓰게 하고 어기면 처벌하게 하다.
    사역원(司譯院) 도제조(都提調) 신개(申槩) 등이 아뢰기를, “국가에서 사대(事大)의 예가 중함을 깊이 염려하여 중국말을 힘써 숭상해서, 권과(勸課)하는 방법이 지극히 자세하고 주밀하나 중국말을 능히 통하는 자가 드물고 적으며, 비록 통하는 자가 있다 …
    #신개 #중국 #맹자 #왜어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24년 (1442)
    대신들에게 일본 당인을 북경에 보낼 여부를 의논하게 하다.
    황희(黃喜)․신개(申槩)․하연(河演)․최사강(崔士康)․황보인(皇甫仁)․이숙치(李叔畤)와, 승문원제조(承文院提調) 정인지(鄭麟趾)․김청(金聽)․안지(安止) 등을 불러서 일본으로부터 나온 당인(唐人)을 북경으로 들여보낼 것인가의 여부를 의논하게 하니, 여러 사람들…
    #황희 #신개 #하연 #최사강 #황보인 #이숙치 #정인지 #김청 #안지 #일본 #북경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34Next PageLast Page총 39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