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종성종 13년(994) 갑오년성종 13년(994) 갑오년13년 봄 2월 ○ 소손녕(蕭遜寧)이 다음과 같은 글을 보내왔다. “근래에 우리 황제께서 보낸 조칙은 이러합니다. ‘고려와는 일찍부터 우호관계를 맺어왔고 국경이 서로 접해 있다.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섬길 경우 합당한 규범과 의례가 있…
-
현종현종 18년(1027) 정묘년현종 18년(1027) 정묘년18년 봄 정월 신해일. 최사위(崔士威)를 태자태사(太子太師)로, 채충순(蔡忠順)․이공(李龔)을 문하시랑(門下侍郞)으로, 서눌(徐訥)을 내사시랑(內史侍郞)으로, 곽원(郭元)․이가도(李可道)를 참지정사(叅知政事)로, 이단(李端)․김맹(金猛)을 중추원사(…#최사위 #태자태사 #채충순 #이공 #문하시랑 #서눌 #내사시랑 #곽원 #이가도 #참지정사 #이단 #김맹 #중추원사 #양진 #상서좌복야 #최충 #급사중 #창부 #유방 #특진 #문하시중 #이정윤 #태묘 #귀덕대장군 #아골아가 #슬불달 #배현경 #홍유 #복지겸 #신숭겸 #유금필 #최응 #박술희 #김견술 #왕식렴 #유신성 #서필 #최지몽 #박양유 #최승로 #최량 #이지백 #서희 #이몽유 #한언공 #김승조 #최숙 #기우제 #가뭄 #정전 #공주 #서리 #왕형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사 #내사령 #왕서 #검교태부 #상서령 #황주량 #형부시랑 #이주좌 #기거사인 #허원 #시어사 #이유량 #전중시어사 #진현석 #우보궐 #이응년 #감찰어사 #양주 #장의사 #삼천사 #청연사 #공부시랑 #유품렴 #탐라 #모일라 #태부 #이광일 #야율호도곤 #영광군 #산호수 #송악산 #동경사 #고연 #이문통 #혜일중광사 #보신 #간관 #좌승선 #이괴 #곽숭원 #이능봉 #구정 #인왕경
-
성종성종 13년(994) 갑오년성종 13년(994) 갑오년十三年 春二月 蕭孫寧致書曰, “近奉宣命, ‘但以彼國信好早通, 境土相接. 雖以小事大, 固有規儀, 而原始要終, 須 須 『고려사』 모든 판본의 원문이 ‘회(湏)’자이나 뜻으로는 ‘수(須)’자가 옳다. 이하동일.存悠久. 若不設於預備, 慮中阻於使人. 遂與彼國相議, 便於…
-
현종현종 18년(1027) 정묘년현종 18년(1027) 정묘년十八年 春正月 辛亥 以崔士威爲太子太師, 蔡忠順․李龔並爲門下侍郞, 徐訥爲內史侍郞, 郭元․李可道並叅知政事, 李端․金猛並爲中樞使, 梁稹爲左僕射, 崔冲爲給事中. 壬子 東女眞酋長昌夫等來, 獻方物. 丙寅 門下侍郞平章事庾方上表乞骸, 許之, 加特進門下侍中. 戊辰 契丹遣李正允…#최사위 #태자태사 #채충순 #이공 #문하시랑 #서눌 #내사시랑 #곽원 #이가도 #참지정사 #이단 #김맹 #중추원사 #양진 #상서좌복야 #최충 #급사중 #창부 #유방 #특진 #문하시중 #이정윤 #태묘 #귀덕대장군 #아골아가 #슬불달 #배현경 #홍유 #복지겸 #신숭겸 #유금필 #최응 #박술희 #김견술 #왕식렴 #유신성 #서필 #최지몽 #박양유 #최승로 #최량 #이지백 #서희 #이몽유 #한언공 #김승조 #최숙 #기우제 #가뭄 #정전 #공주 #서리 #왕형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사 #내사령 #왕서 #검교태부 #상서령 #황주량 #형부시랑 #이주좌 #기거사인 #허원 #시어사 #이유량 #전중시어사 #진현석 #우보궐 #이응년 #감찰어사 #양주 #장의사 #삼천사 #청연사 #공부시랑 #유품렴 #탐라 #모일라 #태부 #이광일 #야율호도곤 #영광군 #산호수 #송악산 #동경사 #고연 #이문통 #혜일중광사 #보신 #간관 #좌승선 #이괴 #곽숭원 #이능봉 #구정 #인왕경
-
太廟태묘(太廟) 태묘 조선시대의 종묘(宗廟)와 마찬가지로, 고려시대 역대 국왕들의 신주를 봉안한 왕실의 사당이다. 유교사상에 입각하여 궁궐의 좌우에 각각 종묘와 사직을 설치하게 되었고, 고려 성종 때 송(宋)나라의 영향을 받아 설치된 이후 고려의 제도로 정착되었으…#태묘 #향사 #한식 #납일 #납향 #천어 #시향 #맹동 #협제 #맹하 #체제 #친향 #옥책 #죽책 #은사 #홍사 #태조실 #섭사 #축판 #조실 #예실 #관규 #규 #찬 #창주 #칠사 #배향공신 #공 #후 #백 #태위 #광록경 #재신 #태상경 #친사원구의 #체향 #합향 #제위 #묘문 #청재 #상사국 #대차 #소차 #조계 #왕좌 #수궁서 #시신 #행사배향관 #유사 #막차 #찬만 #궁위령 #장생령 #태묘령 #소목 #태조 #혜종 #문종 #예종 #소 #현종 #순종 #선종 #숙종 #인종 #목 #보의 #분순 #옥궤 #태악령 #등가 #전영 #헌가 #묘정 #봉례랑 #위판 #음복위 #향관 #감찰어사 #봉례 #악현 #협률랑 #문외위 #공경 #생방 #이속 #대축 #축사 #성생위 #어사 #변 #두 #보 #궤 #신좌 #조 #등 #형 #옥작 #준 #이 #유이 #호이 #사준 #상준 #착준 #산뢰 #작 #찬반 #준이소 #책안 #노탄 #복주작 #사명 #호 #중류 #국문 #태려 #국행 #협향 #목작 #호준 #세위 #관세 #작세 #뇌 #비 #사비 #규찬 #부비 #작비 #섭사자 #별묘 #책문 #서압 #재궁 #대가 #노부 #삽 #극 #추밀 #의봉문 #악부 #대관전 #자황포 #경필 #금위 #사인 #각문 #시중 #판주 #여 #흥례문 #악차 #승황령 #상로 #천우 #장도 #노 #황문시랑 #태복경 #천우위 #난가 #승평문 #거우 #상장군 #현무대 #집사관 #집례 #조복 #산 #선 #화개 #시위 #욕위 #숙위 #통사사인 #묘소 #신악 #집사자 #집례관 #알자 #찬인 #생방위 #태관 #명수 #명화 #찬구 #태관령 #재인 #난도 #울창주 #종향관 #양온령 #범제 #예제 #앙제 #현주 #청주 #제제 #태준 #침제 #사주 #석주 #나유병 #법주 #찬자 #재랑 #영사 #요여 #감실 #태축 #향주 #어가 #악공 #사공 #헌관 #곤룡포 #면류관 #축책 #태상박사 #상의봉어 #전중감 #휘 #축 #무역궁 #정안지곡 #황종궁 #흥안지곡 #대려궁 #대주궁 #응종궁 #관세위 #정안지곡」 #대야 #내시 #뇌수 #태계 #중서령 #협종궁 #순안지곡 #화로 #사도 #판위 #풍안지곡 #태관승 #대정지곡 #부작 #후비 #책축 #소위 #목위 #희안지곡 #복주 #숭안지곡 #뇌세위 #무안지곡 #향악 #종헌관 #뇌세 #주준소 #교서 #공안지곡 #영안지곡 #집사위 #재방 #재전 #태악 #강사포 #합문 #거가 #향안 #상서성 #태상 #광록 #산재 #정침 #치재 #향소 #재소 #묘당 #관작 #수건 #찬소 #풍안지곡」 #홀 #친향의 #좨주 #숭안지곡」 #무안지곡」 #준소 #구실 #사명신위 #태사 #개국 #무열공 #배현경 #충렬공 #홍유 #무공공 #복지겸 #장절공 #신숭겸 #충절공 #유금필 #태부 #희개공 #최응 #엄의공 #박술희 #극익공 #김견술 #수태사 #위정공 #왕식렴 #광위공 #유신성 #내사령 #정민공 #서필 #광익공 #박양유 #민휴공 #최지몽 #광빈공 #최량 #문정공 #최승로 #정헌공 #이몽유 #장위공 #서희 #이지백 #정신공 #한언공 #문하시중 #충의공 #최숙 #김승조 #인헌공 #강감찬 #절의공 #최항 #정숙공 #최사위 #영숙공 #왕가도 #문하시랑평장사 #양의공 #유소 #원숙공 #서눌 #경문공 #황주량 #문헌공 #최충 #수사도 #정간공 #김원충 #순공공 #최제안 #장화공 #이자연 #경숙공 #왕총지 #문화공 #최유선 #문충공 #이정공 #수태위 #장연현개국백 #문정 #광숙공 #유홍 #김상기 #충겸공 #소태보 #수사공 #좌복야 #참지정사 #경렬공 #왕국모 #충경공 #최사추 #중서시랑평장사 #유인저 #영평백 #문숙공 #윤관 #수태부 #문성공 #김인존 #수태보 #위계정 #낙랑후 #문렬공 #김부식 #장경공 #최사전 #평장사 #최윤의 #공숙공 #유필 #문공원 #윤인첨 #충숙공 #문극겸 #문경공 #조영인 #문의공 #최선 #양숙공 #임유 #익렬공 #정극온 #조충 #이항 #위열공 #김취려 #이세재 #채정 #중찬 #허공 #문량공 #설공검 #충정공 #홍자번 #정가신 #정승 #사숙공 #한악 #참리 #이규 #철성부원군 #이암 #흥안부원군 #이인복 #왕후 #계림부원군 #이제현 #익성부원군 #이공수 #하성부원군 #양평공 #조익청 #서령군 #문희공 #유숙
-
太廟太廟享. 有常日者, 寒食․臘, 臘兼薦魚. 無常日者, 並擇日四孟月. 三年一祫, 以孟冬, 五年一禘, 以孟夏. 其禘祫之月, 卽不時享. 冊祝. 親享, 用玉冊․竹冊, 每冊, 二十四簡, 長尺有一寸, 闊一寸. 玉…#태묘 #향사 #한식 #납일 #납향 #천어 #시향 #맹동 #협제 #맹하 #체제 #친향 #옥책 #죽책 #은사 #홍사 #태조실 #섭사 #축판 #조실 #예실 #관규 #규 #찬 #창주 #칠사 #배향공신 #공 #후 #백 #태위 #광록경 #재신 #태상경 #친사원구의 #체향 #합향 #제위 #묘문 #청재 #상사국 #대차 #소차 #조계 #왕좌 #수궁서 #시신 #행사배향관 #유사 #막차 #찬만 #궁위령 #장생령 #태묘령 #소목 #태조 #혜종 #문종 #예종 #소 #현종 #순종 #선종 #숙종 #인종 #목 #보의 #분순 #옥궤 #태악령 #등가 #전영 #헌가 #묘정 #봉례랑 #위판 #음복위 #향관 #감찰어사 #봉례 #악현 #협률랑 #문외위 #공경 #생방 #이속 #대축 #축사 #성생위 #어사 #변 #두 #보 #궤 #신좌 #조 #등 #형 #옥작 #준 #이 #유이 #호이 #사준 #상준 #착준 #산뢰 #작 #찬반 #준이소 #책안 #노탄 #복주작 #사명 #호 #중류 #국문 #태려 #국행 #협향 #목작 #호준 #세위 #관세 #작세 #뇌 #비 #사비 #규찬 #부비 #작비 #섭사자 #별묘 #책문 #서압 #재궁 #대가 #노부 #삽 #극 #추밀 #의봉문 #악부 #대관전 #자황포 #경필 #금위 #사인 #각문 #시중 #판주 #여 #흥례문 #악차 #승황령 #상로 #천우 #장도 #노 #황문시랑 #태복경 #천우위 #난가 #승평문 #거우 #상장군 #현무대 #집사관 #집례 #조복 #산 #선 #화개 #시위 #욕위 #숙위 #통사사인 #묘소 #신악 #집사자 #집례관 #알자 #찬인 #생방위 #태관 #명수 #명화 #찬구 #태관령 #재인 #난도 #울창주 #종향관 #양온령 #범제 #예제 #앙제 #현주 #청주 #제제 #태준 #침제 #사주 #석주 #나유병 #법주 #찬자 #재랑 #영사 #요여 #감실 #태축 #향주 #어가 #악공 #사공 #헌관 #곤룡포 #면류관 #축책 #태상박사 #상의봉어 #전중감 #휘 #축 #무역궁 #정안지곡 #황종궁 #흥안지곡 #대려궁 #대주궁 #응종궁 #관세위 #정안지곡」 #대야 #내시 #뇌수 #태계 #중서령 #협종궁 #순안지곡 #화로 #사도 #판위 #풍안지곡 #태관승 #대정지곡 #부작 #후비 #책축 #소위 #목위 #희안지곡 #복주 #숭안지곡 #뇌세위 #무안지곡 #향악 #종헌관 #뇌세 #주준소 #교서 #공안지곡 #영안지곡 #집사위 #재방 #재전 #태악 #강사포 #합문 #거가 #향안 #상서성 #태상 #광록 #산재 #정침 #치재 #향소 #재소 #묘당 #관작 #수건 #찬소 #풍안지곡」 #홀 #친향의 #좨주 #숭안지곡」 #무안지곡」 #준소 #구실 #사명신위 #태사 #개국 #무열공 #배현경 #충렬공 #홍유 #무공공 #복지겸 #장절공 #신숭겸 #충절공 #유금필 #태부 #희개공 #최응 #엄의공 #박술희 #극익공 #김견술 #수태사 #위정공 #왕식렴 #광위공 #유신성 #내사령 #정민공 #서필 #광익공 #박양유 #민휴공 #최지몽 #광빈공 #최량 #문정공 #최승로 #정헌공 #이몽유 #장위공 #서희 #이지백 #정신공 #한언공 #문하시중 #충의공 #최숙 #김승조 #인헌공 #강감찬 #절의공 #최항 #정숙공 #최사위 #영숙공 #왕가도 #문하시랑평장사 #양의공 #유소 #원숙공 #서눌 #경문공 #황주량 #문헌공 #최충 #수사도 #정간공 #김원충 #순공공 #최제안 #장화공 #이자연 #경숙공 #왕총지 #문화공 #최유선 #문충공 #이정공 #수태위 #장연현개국백 #문정 #광숙공 #유홍 #김상기 #충겸공 #소태보 #수사공 #좌복야 #참지정사 #경렬공 #왕국모 #충경공 #최사추 #중서시랑평장사 #유인저 #영평백 #문숙공 #윤관 #수태부 #문성공 #김인존 #수태보 #위계정 #낙랑후 #문렬공 #김부식 #장경공 #최사전 #평장사 #최윤의 #공숙공 #유필 #문공원 #윤인첨 #충숙공 #문극겸 #문경공 #조영인 #문의공 #최선 #양숙공 #임유 #익렬공 #정극온 #조충 #이항 #위열공 #김취려 #이세재 #채정 #중찬 #허공 #문량공 #설공검 #충정공 #홍자번 #정가신 #정승 #사숙공 #한악 #참리 #이규 #철성부원군 #이암 #흥안부원군 #이인복 #왕후 #계림부원군 #이제현 #익성부원군 #이공수 #하성부원군 #양평공 #조익청 #서령군 #문희공 #유숙
-
성종 13년(994) 갑오년13년 봄 2월 ○ 소손녕(蕭遜寧)이 다음과 같은 글을 보내왔다. “근래에 우리 황제께서 보낸 조칙은 이러합니다. ‘고려와는 일찍부터 우호관계를 맺어왔고 국경이 서로 접해 있다.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섬길 경우 합당한 규범과 의례가 있…
-
현종 18년(1027) 정묘년18년 봄 정월 신해일. 최사위(崔士威)를 태자태사(太子太師)로, 채충순(蔡忠順)․이공(李龔)을 문하시랑(門下侍郞)으로, 서눌(徐訥)을 내사시랑(內史侍郞)으로, 곽원(郭元)․이가도(李可道)를 참지정사(叅知政事)로, 이단(李端)․김맹(金猛)을 중추원사(…
-
성종 13년(994) 갑오년十三年 春二月 蕭孫寧致書曰, “近奉宣命, ‘但以彼國信好早通, 境土相接. 雖以小事大, 固有規儀, 而原始要終, 須 須 『고려사』 모든 판본의 원문이 ‘회(湏)’자이나 뜻으로는 ‘수(須)’자가 옳다. 이하동일.存悠久. 若不設於預備, 慮中阻於使人. 遂與彼國相議, 便於…
-
현종 18년(1027) 정묘년十八年 春正月 辛亥 以崔士威爲太子太師, 蔡忠順․李龔並爲門下侍郞, 徐訥爲內史侍郞, 郭元․李可道並叅知政事, 李端․金猛並爲中樞使, 梁稹爲左僕射, 崔冲爲給事中. 壬子 東女眞酋長昌夫等來, 獻方物. 丙寅 門下侍郞平章事庾方上表乞骸, 許之, 加特進門下侍中. 戊辰 契丹遣李正允…
-
太廟태묘(太廟) 태묘 조선시대의 종묘(宗廟)와 마찬가지로, 고려시대 역대 국왕들의 신주를 봉안한 왕실의 사당이다. 유교사상에 입각하여 궁궐의 좌우에 각각 종묘와 사직을 설치하게 되었고, 고려 성종 때 송(宋)나라의 영향을 받아 설치된 이후 고려의 제도로 정착되었으…
-
太廟太廟享. 有常日者, 寒食․臘, 臘兼薦魚. 無常日者, 並擇日四孟月. 三年一祫, 以孟冬, 五年一禘, 以孟夏. 其禘祫之月, 卽不時享. 冊祝. 親享, 用玉冊․竹冊, 每冊, 二十四簡, 長尺有一寸, 闊一寸. 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