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경종
    경종 5년(980) 경진년
    경종 5년(980) 경진년
    5년 ○ 최지몽(崔知夢)을 내의령(內議令)으로 삼았다. ○ 왕승(王承) 등이 반역 반역 경종 5년(980) 왕승(王承) 등이 일으킨 정변을 말한다. 왕승은 호족출신으로 왕선(王詵)과 같은 계열의 인물이거나 같은 왕씨(王氏) 내지 황보씨(皇甫氏)…
    #최지몽 #내의령 #왕승 #반역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성종
    성종 6년(987) 정해년
    성종 6년(987) 정해년
    봄 3월 갑자일. 대광(大匡) 대광 고려 초기 관료들의 공적의 지위와 신분을 나타내던 관계(官階)의 한 종류로, 1품에서 9품에 이르는 16등위 가운데 2품의 3등위에 해당되며, 성종 14년(995) 향직으로 개편되기 이전까지 사용되었다. 이에 대해서…
    #대광 #최지몽 #이몽유 #정우현 #상상 #하상 #하후씨 #동서 #서서 #은나라 #국학 #태학 #주나라 #동교 #서교 #국자학 #예기 #악경 #시경 #서경 #미름 #직산 #신농씨 #진시황 #개경 #12목 #경학박사 #의학박사 #장리 #영월 #광형 #주옹자 #사마상여 #촉 #목재 #지주 #현관 #대감 #제감 #촌장 #촌정 #팔관회 #오부 #방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성종
    성종 13년(994) 갑오년
    성종 13년(994) 갑오년
    13년 봄 2월 ○ 소손녕(蕭遜寧)이 다음과 같은 글을 보내왔다. “근래에 우리 황제께서 보낸 조칙은 이러합니다. ‘고려와는 일찍부터 우호관계를 맺어왔고 국경이 서로 접해 있다.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섬길 경우 합당한 규범과 의례가 있…
    #소손녕 #안북부 #압록강 #거란 #통화 #태묘 #대종 #배현경 #홍유 #복지겸 #신숭겸 #유금필 #박술희 #김견술 #왕식렴 #유신성 #서필 #최지몽 #집사 #시중 #박양유 #원욱 #송나라 #최원신 #숭록경 #소술관 #어사대부 #이완 #이승건 #압강도구당사 #하공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현종
    현종 18년(1027) 정묘년
    현종 18년(1027) 정묘년
    18년 봄 정월 신해일. 최사위(崔士威)를 태자태사(太子太師)로, 채충순(蔡忠順)․이공(李龔)을 문하시랑(門下侍郞)으로, 서눌(徐訥)을 내사시랑(內史侍郞)으로, 곽원(郭元)․이가도(李可道)를 참지정사(叅知政事)로, 이단(李端)․김맹(金猛)을 중추원사(…
    #최사위 #태자태사 #채충순 #이공 #문하시랑 #서눌 #내사시랑 #곽원 #이가도 #참지정사 #이단 #김맹 #중추원사 #양진 #상서좌복야 #최충 #급사중 #창부 #유방 #특진 #문하시중 #이정윤 #태묘 #귀덕대장군 #아골아가 #슬불달 #배현경 #홍유 #복지겸 #신숭겸 #유금필 #최응 #박술희 #김견술 #왕식렴 #유신성 #서필 #최지몽 #박양유 #최승로 #최량 #이지백 #서희 #이몽유 #한언공 #김승조 #최숙 #기우제 #가뭄 #정전 #공주 #서리 #왕형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사 #내사령 #왕서 #검교태부 #상서령 #황주량 #형부시랑 #이주좌 #기거사인 #허원 #시어사 #이유량 #전중시어사 #진현석 #우보궐 #이응년 #감찰어사 #양주 #장의사 #삼천사 #청연사 #공부시랑 #유품렴 #탐라 #모일라 #태부 #이광일 #야율호도곤 #영광군 #산호수 #송악산 #동경사 #고연 #이문통 #혜일중광사 #보신 #간관 #좌승선 #이괴 #곽숭원 #이능봉 #구정 #인왕경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경종
    경종 5년(980) 경진년
    경종 5년(980) 경진년
    五年 以崔知夢爲內議令. 王承等謀逆, 伏誅.
    #최지몽 #내의령 #왕승 #반역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성종
    성종 6년(987) 정해년
    성종 6년(987) 정해년
    六年 春三月 甲子 大匡崔知夢卒. 秋八月 乙卯 命李夢遊, 詳定中外秦狀, 及行移公文式. 是月, 賜鄭又玄等及第, 敎曰 “自昔結繩旣往, 畫卦以來, 北辰御極之君, 南面經邦之主, 莫不習五常而設敎, 資六籍以取規. 故乃有虞開上下之庠, 夏后置東西之序, 殷修兩學…
    #대광 #최지몽 #이몽유 #정우현 #상상 #하상 #하후씨 #동서 #서서 #은나라 #국학 #태학 #주나라 #동교 #서교 #국자학 #예기 #악경 #시경 #서경 #미름 #직산 #신농씨 #진시황 #개경 #12목 #경학박사 #의학박사 #장리 #영월 #광형 #주옹자 #사마상여 #촉 #목재 #지주 #현관 #대감 #제감 #촌장 #촌정 #팔관회 #오부 #방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성종
    성종 13년(994) 갑오년
    성종 13년(994) 갑오년
    十三年 春二月 蕭孫寧致書曰, “近奉宣命, ‘但以彼國信好早通, 境土相接. 雖以小事大, 固有規儀, 而原始要終, 須 須 『고려사』 모든 판본의 원문이 ‘회(湏)’자이나 뜻으로는 ‘수(須)’자가 옳다. 이하동일.存悠久. 若不設於預備, 慮中阻於使人. 遂與彼國相議, 便於…
    #소손녕 #안북부 #압록강 #거란 #통화 #태묘 #대종 #배현경 #홍유 #복지겸 #신숭겸 #유금필 #박술희 #김견술 #왕식렴 #유신성 #서필 #최지몽 #집사 #시중 #박양유 #원욱 #송나라 #최원신 #숭록경 #소술관 #어사대부 #이완 #이승건 #압강도구당사 #하공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현종
    현종 18년(1027) 정묘년
    현종 18년(1027) 정묘년
    十八年 春正月 辛亥 以崔士威爲太子太師, 蔡忠順․李龔並爲門下侍郞, 徐訥爲內史侍郞, 郭元․李可道並叅知政事, 李端․金猛並爲中樞使, 梁稹爲左僕射, 崔冲爲給事中. 壬子 東女眞酋長昌夫等來, 獻方物. 丙寅 門下侍郞平章事庾方上表乞骸, 許之, 加特進門下侍中. 戊辰 契丹遣李正允…
    #최사위 #태자태사 #채충순 #이공 #문하시랑 #서눌 #내사시랑 #곽원 #이가도 #참지정사 #이단 #김맹 #중추원사 #양진 #상서좌복야 #최충 #급사중 #창부 #유방 #특진 #문하시중 #이정윤 #태묘 #귀덕대장군 #아골아가 #슬불달 #배현경 #홍유 #복지겸 #신숭겸 #유금필 #최응 #박술희 #김견술 #왕식렴 #유신성 #서필 #최지몽 #박양유 #최승로 #최량 #이지백 #서희 #이몽유 #한언공 #김승조 #최숙 #기우제 #가뭄 #정전 #공주 #서리 #왕형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사 #내사령 #왕서 #검교태부 #상서령 #황주량 #형부시랑 #이주좌 #기거사인 #허원 #시어사 #이유량 #전중시어사 #진현석 #우보궐 #이응년 #감찰어사 #양주 #장의사 #삼천사 #청연사 #공부시랑 #유품렴 #탐라 #모일라 #태부 #이광일 #야율호도곤 #영광군 #산호수 #송악산 #동경사 #고연 #이문통 #혜일중광사 #보신 #간관 #좌승선 #이괴 #곽숭원 #이능봉 #구정 #인왕경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최지몽(崔知夢)
    최지몽崔知夢
    최지몽(崔知夢) 최지몽(907~987) 영암군(靈巖郡)(지금의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해상무역을 통해 유력한 토착세력으로 성장하고 태조 왕건의 나주(羅州)(지금의 전라남도 나주시) 정벌에 협조한 영암 최씨(靈巖崔氏) 원보(元甫) 최상흔(崔相昕)의 아들이다. 태조…
    #최지몽 #최총진 #남해 #영암군 #원보 #최상흔 #대광 #현일 #태조 #비단 옷 #공봉 #삼한 #왕규 #사천관 #신덕전 #정종 #노비 #안마 #은그릇 #귀법사 #외걸현 #내의령 #동래군후 #비단 이부자리 #휘장 #옷 #말 #복두 #무소뿔띠 #왕승 #왕이 입던 옷 #좌집정 #수내사령 #상주국 #홍문숭화치리공신 #내사방 #해안사 #베 1천 필 #쌀 3백 석 #보리 2백 석 #차 2백 각 #향 #태자태부 #민휴 #태사 #경종의 묘정 #최현동 #최회원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반역(叛逆)
    왕규(王規)
    왕규王規
    왕규(王規) 왕규(?~945) 광주(廣州)(지금의 경기도 광주시)의 호족으로 태조에게 두 딸을 바쳤으며 통일 후에는 주로 외교분야에서 크게 활약하였다. 왕규는 태조 18년(935)에 후당(後唐)에 사신으로 다녀왔으며 이듬해 후진(後晋)에 사신으로 가 황제 석경…
    #왕규 #광주 #태조 #대광 #광주원군 #혜종 #왕요 #왕소 #사천공봉 #최지몽 #자미원 #장공주 #신덕전 #중광전 #박술희 #정종 #서경 #왕식렴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Next PageLast Page총 16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Report Error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