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수사관(修史官)
    修史官
    정헌대부(正憲大夫)․공조판서(工曹判書)․집현전대제학(集賢殿大提學)․지경연춘추관사(知經筵春秋館事) 겸 성균대사성(成均大司成) 신(臣) 정인지(鄭麟趾) 가선대부(嘉善大夫) 가선대부 조선시대 문산계로 정2품에 해당된다.․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동지춘추관사(同…
    #정헌대부 #공조판서 #집현전대제학 #지경연춘추관사 #성균대사성 #정인지 #중추원부사 #동지춘추관사 #김조 #예문관제학 #세자좌부빈객 #이선제 #집현전부제학 #지제교 #경연시강관 #춘추관편수관 #정창손 #세자좌보덕 #신석조 #통정대부 #사간원좌사간대부 #최항 #과의장군 #호분시위사상호군 #지병조사 #신 노숙동 #집현전직제학 #세자좌필선 #춘추관기주관 #이석형 #세자우보덕 #지승문원사 #신숙주 #예문관직제학 #최덕지 #봉정대부 #직집현전 #세자우필선 #어효첨 #좌중호 #김예몽 #성균사예 #김순 #집현전교리 #세자우문학 #양성지 #경연부검토관 #이예 #수이조정랑 #김지경 #수성균직강 #김윤복 #수집현전부교리 #세자우사경 #춘추관기사관 #이극감 #집현전수찬 #경연사경 #윤기견 #공조좌랑 #박원정 #성균주부 #김명중 #행우군섭부사직 #승문원부교리 #조근 #수성균주부 #중부유학교수관 #홍우치 #수승문원부교리 #예승석 #집현전부수찬 #윤자운 #사섬주부 #이효장 #서부유학교수관 #이인전 #행예문봉교 #유자문 #예문봉교 #전효우 #예문대교 #김용 #행예문검열 #한서봉 #오백창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수사관(修史官)
    修史官
    正憲大夫工曹判書集賢殿大提學知經筵春秋館事兼成均大司成, 臣鄭麟趾. 嘉善大夫中樞院副使同知春秋館事, 臣金銚. 嘉善大夫藝文館提學同知春秋館事世子左副賓客, 臣李先齊. …
    #정헌대부 #공조판서 #집현전대제학 #지경연춘추관사 #성균대사성 #정인지 #중추원부사 #동지춘추관사 #김조 #예문관제학 #세자좌부빈객 #이선제 #집현전부제학 #지제교 #경연시강관 #춘추관편수관 #정창손 #세자좌보덕 #신석조 #통정대부 #사간원좌사간대부 #최항 #과의장군 #호분시위사상호군 #지병조사 #신 노숙동 #집현전직제학 #세자좌필선 #춘추관기주관 #이석형 #세자우보덕 #지승문원사 #신숙주 #예문관직제학 #최덕지 #봉정대부 #직집현전 #세자우필선 #어효첨 #좌중호 #김예몽 #성균사예 #김순 #집현전교리 #세자우문학 #양성지 #경연부검토관 #이예 #수이조정랑 #김지경 #수성균직강 #김윤복 #수집현전부교리 #세자우사경 #춘추관기사관 #이극감 #집현전수찬 #경연사경 #윤기견 #공조좌랑 #박원정 #성균주부 #김명중 #행우군섭부사직 #승문원부교리 #조근 #수성균주부 #중부유학교수관 #홍우치 #수승문원부교리 #예승석 #집현전부수찬 #윤자운 #사섬주부 #이효장 #서부유학교수관 #이인전 #행예문봉교 #유자문 #예문봉교 #전효우 #예문대교 #김용 #행예문검열 #한서봉 #오백창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민종유(閔宗儒) 부 민적(閔頔)
    민종유閔宗儒 부 민적閔頔
    민적(閔頔)은 자가 낙전(樂全)으로 태어날 때부터 그 모습이 예사롭지 않았다. 외조부 유천우(兪千遇)가 그를 보고 기특히 여겨 “이 아이는 뒷날 반드시 귀하게 될 것이다.”라고 예언하니 이모부인 전 재상 김군(金頵) 김군(?~1299) 본관은 언양(彦陽)이다.…
    #민적 #유천우 #김군 #선랑 #신라 #충렬왕 #국선 #첨의주서 #비서랑 #군부정랑 #판도정랑 #세자궁문랑 #충선왕 #비서소윤 #연경 #나주목사 #전의부령 #선부의랑 #지제교 #밀직승지 #사헌집의 #평양윤 #충숙왕 #선부전서 #보문각제학 #밀직부사 #대사헌 #원나라 #하정사 #여흥군 #충혜왕 #밀직사사 #진현관대제학 #지춘추관사 #문순 #민사평 #민유 #민변 #민환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민종유(閔宗儒) 부 민제(閔霽)
    민종유閔宗儒 부 민제閔霽
    민제(閔霽) 민제(1339~1408) 자는 중회(仲晦), 호는 어은(漁隱)으로 부친은 민변(閔忭)이며, 모친은 공암 허씨 허백(許伯)의 딸이다. 공민왕 6년(1357) 급제 후 국자직학(國子直學)․전리정랑(典理正郎)․상의밀직사사(商議密直司事)․한양부윤(漢陽府尹…
    #민제 #공민왕 #국자직학 #춘추검열 #전리정랑 #지제교 #성균사예 #전교부령 #우왕 #판전의사 #지춘주사 #판소부시사 #전공예의판서 #창왕 #개성윤 #상의밀직사사 #공양왕 #예문관제학 #첨서밀직사사 #예조판서 #추부 #예조 #장경도량 #면포 #한양부윤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박전지(朴全之)
    박전지朴全之
    박전지(朴全之) 박전지(1250~1325) 본관 죽주(竹州)이며, 자는 반원(返圓), 자호는 행산몽천무구거사(杏山蒙泉無垢居士)이다. 삼한벽상공신 박기오(朴奇悟)의 13세손이다. 모친은 경원 이씨(慶原李氏) 이장용(李藏用)의 딸이며 경원군대부인(慶原郡大夫人)에 …
    #박전지 #죽주 #박휘 #전법판서 #사한 #충렬왕 #원나라 #세조 #정동성도사 #이부 #병부 #시랑 #안동 #전중윤 #지제교 #충선왕 #시강 #사림원 #최참 #오한경 #이진 #능견 #주 #저포 #상승국 #권영 #삼사좌사 #사림학사승지 #밀직부사 #중경유수 #연흥군 #충숙왕 #수첨의찬성사 #심왕 #박원 #우부대언 #정승 #문광 #이장용 #광평군 #강릉군 #정당문학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윤신걸(尹莘傑)
    윤신걸尹莘傑
    윤신걸(尹莘傑) 윤신걸(1266~1337) 본관은 기계(杞溪)이며, 자는 이지(伊之)이다. 선대는 향시(鄕試)에 급제해 성장했는데 증조부는 검교첨사(檢校詹事) 윤양비(尹良庇)이고, 조부는 합문지후(閤門祗候) 윤유정(尹維楨), 부친은 감찰사 윤후(尹珝)로서 모두…
    #윤신걸 #경주 #기계현 #충렬왕 #남경사록 #사문대학박사 #충선왕 #우헌납 #강릉부익선 #충숙왕 #지영해부 #선부의랑 #우부대언 #보문각제학 #지제교 #밀직부사 #선부전서 #지밀직사사 #예문대제학 #순성보리공신 #이제현 #시관 #박효수 #첨의평리 #장명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조준(趙浚)
    조준趙浚
    조준(趙浚) 조준 평양 조씨 가문은 조준의 증조부인 조인규(趙仁規)대부터 문벌로 성장하였다. 역관(譯官) 출신으로 재상의 반열에 오른 조인규는 사위인 충선왕이 왕위에 오르자 최고 권세가가 되었다. 조인규는 부인 조씨와의 사이에서 5남 4녀를 두었는데 그 중 차…
    #조준 #명중 #시중 #조인규 #공민왕 #수덕궁 #보마배지유 #홍륜 #과거 #통례문부사 #강원도 #안찰사 #정선군 #명주 #사헌장령 #감문위 #대호군 #지제교 #지신사 #김도 #대언 #박진록 #김주 #우왕 #고원 #재신 #전법판서 #왜놈 #경상도 #도통사 #최영 #체복사 #도순문사 #이거인 #병마사 #유익환 #도당 #밀직제학 #상의회의도감사 #양광도 #원수 #왜적 #강릉교주도 #도검찰사 #선위좌명공신 #임견미 #염흥방 #첨서밀직사사 #윤소종 #허금 #조인옥 #유원정 #정지 #백군녕 #우리 태조 #지밀직사사 #대사헌 #정도전 #사전 #이색 #이림 #우현보 #변안열 #권근 #유백유 #정몽주 #태조 #간관 #오사충 #이서 #이준 #주례 #천관 #총재 #6경 #육전 #사도 #예속 #6부 #감 #시 #창 #고 #유품 #판도사 #전법사 #예의사 #예관 #전공사 #공관 #6전 #사 #판사사 #밀직 #판서 #봉익 #낭관 #6색장 #주공 #소공 #태공 #문왕 #무왕 #성왕 #강왕 #소하 #조참 #방현령 #두여회 #한고조 #당태종 #중서성 #영 #평장 #참정 #정당 #추밀 #원나라 #삼군 #양부 #후한 #광무제 #6시 #7감 #통헌 #춘추 #공자 #주나라 #문종 #공경 #사대부 #동반 #규정 #정언 #수령 #사림 #감무 #현령 #부사 #서리 #대간 #6조 #안집 #공사 #주리 #역리 #장인 #상인 #헌사 #공역서 #8도 #군부사 #사복시 #백경 #내승 #내수 #경기 #공호 #구사 #호적 #농장 #상승 #수의 #부병 #도감 #조성도감 #선공 #선공시 #방어․화통도감 #군기시 #임진강 #예성강 #도성 #도총도감 #5부 #개성부 #사장 #학교 #부형 #도관 #궁사 #창고 #노비 #변정도감 #방리 #이인임 #시호 #뇌사 #정렬공 #이자송 #당나라 #현릉 #중국 #명나라 #호복 #품제 #전교 #당후관 #상장군 #전리사 #도평의사 #녹사 #왕패 #성중애마 #외관 #정 #노 #안렴 #호부 #조정 #향리 #양전 #양호 #천호 #판도 #신라 #백제 #금성 #삼한 #압록강 #한왕조 #흉노 #수군만호부 #봉화 #합포 #의주 #조운 #수군만호 #둔전 #전라 #경상 #양광 #만호 #상만호 #부만호 #초피 #송자 #인삼 #봉밀 #황랍 #미두 #매 #새매 #화척 #재인 #창왕 #상신 #헌신 #편작 #침원서 #산재 #상서성 #치재 #정순 #당악 #향악 #창기 #절제사 #관찰사 #기인 #경저주인 #막사 #주선 #지문하부사 #추충여절좌명공신 #공양왕 #삼국 #수시중 #이성계 #진평 #주발 #한나라 #적인걸 #장간지 #당 #노국대장공주 #종묘 #의릉 #면성 #황려 #고성 #예안 #근비 #의비 #숙비 #헌비 #안비 #영비 #정비 #현비 #선비 #내탕 #인장 #내부 #추밀원 #부원군 #국대부인 #옹주 #택주 #작첩 #유배 #조선 #양한 #육조 #수 #오대 #우 #수문제 #요순 #걸 #주 #이제 #삼왕 #탕왕 #사관 #좌사 #우사 #서연 #8위 #군부 #42도부 #대 #오 #위 #상장 #근시 #충용위 #호군 #우다치 #쉬구치 #별보 #애마 #5원 #10장 #공장 #노예 #좌우위 #사문 #사순 #비순위 #신호위 #위정 #사막 #상사 #사설 #사옹 #상식 #사선 #6국 #김부식 #서도 #낙랑후 #정승 #김방경 #탐라 #상락공 #환관 #경릉 #대장군 #낭장 #별장 #판사 #주부 #향원 #교수관 #향교 #유학 #맹자 #가묘 #신사 #주자가례 #대부 #서인 #삼령절 #한식 #경기 8현 #동북면 #서북면 #5군 #한 #남북군 #부위병 #요나라 #금나라 #양계 #진제 #송나라 #한산 #장좌 #부위 #중방 #첨설 #상호군 #중랑장 #산원 #진차 #역호 #관리 #정역별감 #승 #반인 #경관 #역승 #상평창 #의창 #경수창 #장손평 #사창 #위인 #금살도감 #달단 #삭선 #객사 #전구서 #사재시 #군관 #민관 #재상 #문제 #가의 #서경 #순임금 #곤 #무경 #전법 도관 #공판도감 #삼사 #순군 #대성 #정조 #권지행사 #잡과 #향역 #성균 #전법 #전의 #첨설봉익 #명경 #전원 #평리 #판상서시사 #중흥공신 #녹권 #조선군충의군 #정숙공 #충렬왕 #신우 #조민수 #신창 #강후 #양공 #대리 #화장 #규전 #3과 #어사 #관 #역 #복시 #군리 #수군 #참관 #예부 #찬성사 #판예조사 #판상서 #충근여절좌명정조공신 #삼사좌사 #김진양 #수원옥 #판삼사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반역(叛逆)
    신돈(辛旽)
    신돈辛旽
    신돈(辛旽)은 영산(靈山)(지금의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사람으로 그 어미는 계성현(桂城縣)(지금의 경상남도 창녕군 계성면) 옥천사(玉川寺) 옥천사 지금의 경상남도 창녕군 화왕산에 있었던 절로서 창건연대는 미상이다. 신돈(辛旽)의 어머니가 이 절의 종이었으나…
    #신돈 #영산 #계성현 #옥천사 #편조 #공민왕 #김원명 #이승경 #정세운 #밀직 #김란 #최영 #계림윤 #찬성사 #이인복 #조희고 #홍사범 #최맹손 #김보 #이춘부 #임군보 #박희 #찬성 #이구수 #평리 #양백익 #판밀직 #박춘 #예성군 #석문성 #환관 #부원군 #이영 #김수만 #상호군 #이득림 #순군경력 #오계남 #양천군 #허유 #전공판서 #변광수 #판사 #홍인계 #전리판서 #허서 #첨의평리 #김귀 #양제 #대호군 #이인수 #호군 #홍승로 #백현 #이원구 #왕안덕 #배인길 #수정이순논도섭리보세공신 #벽상삼한삼중대광 #영도첨의사사사 #판중방감찰사사 #취성부원군 #제조승록사사 #판서운관사 #재상 #영도첨의 #이공수 #시중 #경천흥 #판삼사사 #이수산 #송경 #한공의 #정당 #원송수 #동지밀직 #왕중귀 #총재 #대간 #기현 #응양군 #밀직제학 #이달충 #연등회 #간관 #정추 #이존오 #덕풍군 #왕의 #산기 #안극인 #정랑 #정우 #판관 #정양생 #목인길 #황상 #한방신 #안우상 #이금강 #지용수 #양백연 #김달상 #이운목 #장필례 #이선 #금위제조관 #재추 #광주 #천왕사 #왕륜사 #이인임 #천수사 #도당 #유탁 #고라리 #윤환 #전민변정도감 #역리 #도감 #개경 #장해 #낭장 #순군 #공경대부 #낙산사 #익비 #정비 #허강 #상락군 #김영후 #원나라 #영록대부 #집현전대학사 #문수회 #연복사 #수미산 #범패 #쿠치 #충용위 #달자 #부소산 #송도 #도선비기 #평양 #예의판서 #윤충좌 #전교령 #임박 #내서사인 #김린 #지제교 #김희 #감찰대부 #김한귀 #성균관 #이색 #숭문관 #문선왕 #선현 #천희 #강절 #달마 #불복장 #강안전 #사관 #윤소종 #부목 #걸철 #봉선사 #박보안 #삼재 #강석 #지도첨의 #오인택 #삼사우사 #안우경 #밀직부사 #판개성 #이희필 #한휘 #조린 #윤승순 #도선밀기 #판소부시사 #강원보 #판서 #신귀 #오영좌 #유인재 #한덕경 #전영귀 #박세원 #경상 #강릉도 #찰방사 #김정 #양광 #전라도 #고한우 #서해 #교주도 #찰방 #판대복사 #손용 #현풍 #곽의 #일본 #범탕 #행성 #지신사 #염흥방 #대위 #전라도 안렴 #헌부 #대관 #반주 #내시별감 #이제현 #예문관 #전교시 #이첨 #유숙 #김문현 #김군정 #김흥조 #조사공 #유사의 #김제안 #김구보 #이원림 #윤희종 #홍주목사 #정휘 #제학 #한천 #순군옥 #손연 #경상도 #홍영통 #수원도 #오도도사심관 #삼사 #충숙왕 #사심관 #오도도사심 #충주 #판사천감 #진영서 #팔관회 #의봉루 #석온 #보리군 #고인기 #판소부감사 #금강산 #명나라 #채색 비단 #육부 #대성 #권적 #화산대 #양청 #경대부 #최사원 #헌릉 #경릉 #선부의랑 #이인 #한림거사 #김속명 #순위부 #소윤 #정구한 #장군 #진윤검 #기중수 #한을송 #신수 #광명사 #승선 #권중화 #망룡의 #정릉 #두리쉬구치 #수원 #이성림 #이부 #헌사 #문하성 #중방 #도평의사 #체복사 #김규 #아지 #반야 #모니노 #우왕 #수원부사 #박동생 #상장군 #이미충 #민유의 #이지 #강성을 #이백수 #김두달 #김원만 #천정 #철관 #기중제 #기숙륜 #기중평 #임희재 #신순 #임세 #최진 #임인무 #임단 #김천보 #임계 #김횡 #허완 #승지 #김진 #이광부 #이원부 #김중원 #송란 #손주 #김안 #석란 #오중화 #민부상서 #성준덕 #성여완 #예부직랑 #오일악 #대상소경 #조사겸 #유준 #박천우 #군부정랑 #유자택 #윤덕방 #한휴 #양천식 #나송 #김휘서 #신올지 #김양검 #고민 #정방소경 #중랑장 #하영홍 #감찰사 #삼사우윤 #이우룡 #정당문학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민종유(閔宗儒) 부 민적(閔頔)
    민종유閔宗儒 부 민적閔頔
    頔, 字樂全, 生而姿相不凡. 外王父兪千遇, 見而奇之曰, “兒他日必貴.” 姨夫故相金頵, 聞其言, 養于家. 國俗, 幼必從僧習句讀, 有面首者, 僧俗皆奉之, 號曰仙郞. 聚徒或至千百, 其風起自新羅. 頔十歲, 出就僧舍學, 性敏悟, 受書旋通其義. 眉宇如畵, 風儀秀雅, 見者…
    #민적 #유천우 #김군 #선랑 #신라 #충렬왕 #국선 #첨의주서 #비서랑 #군부정랑 #판도정랑 #세자궁문랑 #충선왕 #비서소윤 #연경 #나주목사 #전의부령 #선부의랑 #지제교 #밀직승지 #사헌집의 #평양윤 #충숙왕 #선부전서 #보문각제학 #밀직부사 #대사헌 #원나라 #하정사 #여흥군 #충혜왕 #밀직사사 #진현관대제학 #지춘추관사 #문순 #민사평 #민유 #민변 #민환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민종유(閔宗儒) 부 민제(閔霽)
    민종유閔宗儒 부 민제閔霽
    霽, 字仲晦, 性溫仁淸簡, 不喜華侈. 好讀書, 一覽輒記, 長於史學. 恭愍朝, 年十九登第, 補國子直學, 選爲春秋檢閱, 稍遷典理正郞知製敎, 歷成均司藝典校副令. 辛禑時, 官累判典儀事, 出知春州事, 有惠政, 召還判少府寺事, 再遷典工禮儀判書. 辛昌時, 拜開城尹商議密直司…
    #민제 #공민왕 #국자직학 #춘추검열 #전리정랑 #지제교 #성균사예 #전교부령 #우왕 #판전의사 #지춘주사 #판소부시사 #전공예의판서 #창왕 #개성윤 #상의밀직사사 #공양왕 #예문관제학 #첨서밀직사사 #예조판서 #추부 #예조 #장경도량 #면포 #한양부윤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Next PageLast Page총 18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