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현종
    현종 2년(1011) 신해년
    현종 2년(1011) 신해년
    2년 봄 정월 초하루 을해일. 거란 임금이 이끄는 군대가 개경으로 진입해 태묘(太廟)와 궁궐 및 민가를 모조리 불태워 버렸다. 이 날 왕은 광주(廣州)(지금의 경기도 광주시)에 머물고 있었다. 정축일. 호종했던 신하들이 하공진(河拱辰) 등이 포로…
    #개경 #태묘 #광주 #하공진 #시랑 #충숙 #장연우 #채충순 #주저 #유종 #김응인 #비뇌역 #장곡역 #인의현 #수다역 #노령 #나주 #복룡역 #고부군 #금구현 #전주 #양규 #김숙흥 #압록강 #비서감 #박섬 #사재경 #예부시랑 #중추원직학사 #한창필 #합문통사사인 #안북 #무안현 #여양현 #공주 #김은부 #김계부 #병부시랑 #이단 #이부원외랑 #청주 #연등회 #수창궁 #형부 #유언경 #탁사정 #어사중승 #유진 #내사시랑평장사 #조지린 #최사위 #참지정사 #우간의대부 #황보유의 #최창 #시어사 #유소 #전중시어사 #김종현 #박종검 #감찰어사 #노정 #예빈경 #대장군 #채온겸 #신녕한 #낭장 #원태 #별장 #최원 #습유 #승리인 #태사승 #유인택 #재상 #논어 #서경 #이정 #최보성 #송악 #공부낭중 #왕첨 #거란 #태사 #영빈관 #회선관 #동북여진 #서을두 #유방 #병부상서 #상장군 #최현민 #공부상서 #김심언 #예부상서 #최충 #우습유 #평양 #목멱 #교연 #도지암 #동명왕 #박승 #강감찬 #한림학사승지 #전중감 #손몽주 #상서좌승 #중추사 #낭중 #백행린 #이인례 #거정 #법언 #수좌 #조용겸 #유승건 #이재 #최집 #최성의 #임탁 #양진 #문인위 #상서우복야 #박충숙 #서경부유수 #판어사대사 #강조 #위종정 #강은 #이부낭중 #조자기 #이택성 #이인택 #호부시랑 #최원신 #관인전 #송악성 #황성 #동여진 #경주 #상서좌복야 #이부상서 #장작감 #강의 #상서우승 #탐라 #주기 #이방 #서경유수 겸 서북면행영도병마사 #도관낭중 #김숭의 #상서 #장연제 #형부시랑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명종
    명종 원년(1171) 신묘년
    명종 원년(1171) 신묘년
    원년 봄 정월. ○ 왕의 맏아들 왕숙(王璹)의 관례(冠禮)를 거행했다. 5월 갑신일. 선덕전(宣德殿)에서 닷새 동안 소재도량(消災道場)을 열…
    #왕숙 #관례 #선덕전 #소재도량 #유응규 #금나라 #임수 #봉은사 #대관전 #보살계 #순문사 #완안정 #불진연 #초참연 #평장사 #서공 #덕소 #왕사 #좌간의 #김신윤 #우간의 #김보당 #좌산기상시 #이소응 #좌사간 #이응초 #우정언 #최당 #재상 #최윤의 #간의 #이원응 #중승 #오중정 #환관 #정함 #고신 #서해안찰사 #박순고 #노인성 #지수주사 #오녹지 #승선 #이준의 #문극겸 #대성 #순검군 #황성 #판대부사 #공부시랑 #예부원외랑 #전중내급사 #위위소경 #대부소경 #선경전 #백고좌 #임규 #정중부 #이의방 #자성문 #산호정 #수창궁 #건흥절 #고주사 #예부시랑 #장익명 #도부서 #황공우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공민왕
    공민왕 19년(1370) 경술년
    공민왕 19년(1370) 경술년
    봄 정월 갑오일. 혜성이 동북쪽 하늘에 나타났다. ○ 우리 태조가 기병 5천 명과 보병 1만 명을 거느리고 동북면으로부터 황초령(黃草嶺) 황초령 함흥에서 장진으로 가는 교통로이며, 신라 진흥왕 순수비(眞興王巡狩碑)가 있다.을 넘어 6백여 리를…
    #태조 #동북면 #황초령 #설한령 #압록강 #서운관 #이성계 #동녕부 #동지 #이오로테무르 #우라산성 #야둔촌 #이원경 #고안위 #편전 #황성 #만호 #궁대 #정릉 #능호 #왕륜사 #호승 #지공 #원구 #밀직부사 #내포 #병선 #선주 #양백연 #원나라 #추밀부사 #바이주 #오로테무르 #이백연 #이장수 #이천우 #현다사 #김아로정 #나하추 #삼중대광 #사도 #모시베 #카라바투 #에센부카 #회왕 #의릉 #지신사 #염흥방 #판사천감사 #진영서 #운암사 #영전 #관음전 #연복사 #도사 #서사호 #조천궁 #발해 #풍천 #회빈문 #양릉정 #봉천전 #예부상서 #최량 #대화악 #대남해 #신사 #기청제 #신돈 #위왕 #상보사승 #설사 #왕전 #대통력 #금단 #색단 #선라 #사 #상국 #시중 #이춘부 #이인임 #성준득 #명나라 #삼황오제 #양나라 #무제 #유강 #요동 #심양 #조하의주 #금룡저사 #홍숙이견 #향 #축판 #번 #폐백 #순 #탕 #마암 #예부주사 #백례 #시의사인 #복겸 #주나라 #한 #당 #송나라 #책시 #향시 #회시 #오경 #전시 #하남성 #산동성 #산서성 #섬서성 #북평성 #복건성 #강서성 #절강성 #호광성 #광동성 #광서성 #고려 #안남 #점성 #행성 #중서성 #예부 #등문고 #고시관주문 #동고시 #유관 #유사 #제조관 #감시관 #감찰어사 #감찰사 #공급관 #응천부 #수장시권관 #미봉관 #등록관 #대독관 #수권관 #순작관 #도독부 #수어관 #백호 #정지 #손창보 #난수산 #진군상 #명주 #포진보 #최용소 #개경 #비서감직장 #하상봉 #사전 #요 #공자 #강사찬 #금인 #탐라 #갈 #도산 #상보시승 #고려국왕 #금수융단 #비단필 #사라 #반서 #달달목자 #쿠쿠다스 #신문관 #재상 #윤시우 #윤환 #김장로 #태복시 #선휘원 #중정원 #자정원 #제주 #선사 #맹원철 #경신군 #장강 #좌부장군 #이문충 #부장군 #조용 #응창부 #매적리팔라 #총병관 #북평 #숭례후 #아유르시리다라 #교지 #애마 #두목인 #몽고 #지용수 #부원수 #추밀원부사 #판사농시사 #한복 #수창궁 #윤공 #남경 #적전 #약왕원 #윤택 #광명사 #혜근 #공부상서 #권균 #박실 #김도 #유백유 #제과 #승상 #코케테무르 #추정도감 #판사 #대간 #6부 #의주 #대성 #달마대 #대장군 #진변도호부사 #예의판서 #한수 #보평청 #장자온 #진변도호부 #안무사 #기샤인테무르 #요심 #한인 #강계만호부 #사관 #사헌부 #이부 #간의대부 #오중륙 #태백성 #일관 #지문하성사 #이금강 #원수부 #원수 #은인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우왕
    우왕 5년(1379) 기미년
    우왕 5년(1379) 기미년
    정월 을해일. 요동도지휘사(遼東都指揮司) 요동도지휘사 명나라 초 요동에 설치된 군사기구이다. 명 태조는 홍무 4년(1371) 반명 세력인 요양(遼陽) 평장(平章) 유익(劉益)의 투항으로 요동 통제에 성공한 후 정료도위지휘사사(定遼都衛指揮使司)를 설치하…
    #요동도지휘사 #진무 #임성 #고려 #북원 #밀직부사 #안익 #양광도 계점사 #간관 #후소 #좌소 #우왕 #일본 #승려 #법인 #흉년 #연등회 #우박 #왜적 #순천 #조양 #진원 #정지 #면주 #판서 #최유용 #계점사 #지문하사 #우인열 #경상도 상원수 #목자안 #전라도 부원수 #도순문사 #심덕부 #김보생 #명나라 #조서 #입조 #세공 #예부상서 #주몽염 #고려국왕 #왕전 #한나라 #고구려 #광무제 #당나라 #송나라 #거란 #여진 #원나라 #세조 #춘추 #중서성 #주차사 #소루 #조진 #첨수참 #문천식 #오계남 #도강현 #고성군 #전공판서 #이연 #호군 #임언충 #요동 #총병 #반경 #섭왕 #인원보 #서북면 체찰사 #곡성 #남원 #판관 #순천부 #동지 #이우루스테무르 #황성 #만호 #정룡 #윤송 #양광도 도순문사 #지진 #주겸 #주저 #노국공주 #안산군 #판개성부사 #이림 #후덕부 #철성부원군 #풍천 #지주사 #유자 #안렴 #김간 #업정강천호 #임견 #이길생 #원수 #참형 #문화현 #안집사 #범영부 #장형 #단오 #격구 #태백성 #한국주 #대내전 #의홍 #박거사 #가뭄 #판전의 #양종진 #초제 #벽운 #민중 #도사 #신주 #철원군 #환관 #김실 #요 #순 #걸왕 #주왕 #안주원수 #최원지 #영청현 #검교예의판서 #윤사충 #울주 #계림부 #청도군 #홍인륭 #계림 #강릉도 #조인벽 #강릉도원수 #박수경 #안동도원수 #부윤 #첨원 #보비 #교사 #나하추 #문카라부카 #저포 #마포 #용주 #의주 #장려 #낙안군 #영녕군 #판삼사사 #손홍량 #정평 #이자용 #구주절도사 #미나모토료순 #무릉도 #여미현 #수주 #곽주 #계림윤 #김광부 #합포도순문사 #요동도사 #도평의사사 #합라 #쌍성 #테그스타이테무르 #지밀직사사 #지용기 #전라도원수 #지평현 #정당문학 #허완 #동지밀직 #윤방안 #내재추 #임견미 #대간 #최영 #단계현 #거창현 #야로현 #가수현 #해인사 #선산 #득익사 #이을진 #충주․단양도병마사 #장백숙 #청주병마사 #산음 #진주 #사주 #함양 #서해도 #양광도 #수군 #숭경윤 #양광도 상원수 #이현 #유방계 #연로 #태후전 #문하평리 #이무방 #판밀직 #배언 #진정표 #김의 #왕도 #왕정 #왕흔 #왕저 #심왕 #왕우 #왜국 #찬성사 #목인길 #양제 #전라도 #삼사좌사 #권중화 #조민수 #회암 #서운관 #도선 #경상도원수 #종부부령 #이의 #찬성사상의 #양백익 #창녕 #유배 #서경원수 #사헌부 #시비 #지윤 #양백연 #홍중선 #김도 #원순 #유보 #개경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현종
    현종 2년(1011) 신해년
    현종 2년(1011) 신해년
    二年 春正月 乙亥朔 契丹主入京城, 焚燒太廟․宮闕․民屋皆盡. 是日, 王次廣州. 丁丑 扈從諸臣, 聞拱辰等被執, 皆驚懼散走, 惟侍郞忠肅․張延祐․蔡忠順․周佇․柳宗․金應仁不去. 戊寅 王發廣州, 次鼻腦驛. 壬午 次長谷驛. 乙酉 丹兵退. 丙戌 王過仁義縣, 次水多驛. 丁亥 …
    #개경 #태묘 #광주 #하공진 #시랑 #충숙 #장연우 #채충순 #주저 #유종 #김응인 #비뇌역 #장곡역 #인의현 #수다역 #노령 #나주 #복룡역 #고부군 #금구현 #전주 #양규 #김숙흥 #압록강 #비서감 #박섬 #사재경 #예부시랑 #중추원직학사 #한창필 #합문통사사인 #안북 #무안현 #여양현 #공주 #김은부 #김계부 #병부시랑 #이단 #이부원외랑 #청주 #연등회 #수창궁 #형부 #유언경 #탁사정 #어사중승 #유진 #내사시랑평장사 #조지린 #최사위 #참지정사 #우간의대부 #황보유의 #최창 #시어사 #유소 #전중시어사 #김종현 #박종검 #감찰어사 #노정 #예빈경 #대장군 #채온겸 #신녕한 #낭장 #원태 #별장 #최원 #습유 #승리인 #태사승 #유인택 #재상 #논어 #서경 #이정 #최보성 #송악 #공부낭중 #왕첨 #거란 #태사 #영빈관 #회선관 #동북여진 #서을두 #유방 #병부상서 #상장군 #최현민 #공부상서 #김심언 #예부상서 #최충 #우습유 #평양 #목멱 #교연 #도지암 #동명왕 #박승 #강감찬 #한림학사승지 #전중감 #손몽주 #상서좌승 #중추사 #낭중 #백행린 #이인례 #거정 #법언 #수좌 #조용겸 #유승건 #이재 #최집 #최성의 #임탁 #양진 #문인위 #상서우복야 #박충숙 #서경부유수 #판어사대사 #강조 #위종정 #강은 #이부낭중 #조자기 #이택성 #이인택 #호부시랑 #최원신 #관인전 #송악성 #황성 #동여진 #경주 #상서좌복야 #이부상서 #장작감 #강의 #상서우승 #탐라 #주기 #이방 #서경유수 겸 서북면행영도병마사 #도관낭중 #김숭의 #상서 #장연제 #형부시랑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명종
    명종 원년(1171) 신묘년
    명종 원년(1171) 신묘년
    元年 春正月 元子璹冠. 五月 甲申 設消災道場于宣慶殿五日. 己丑 庾應圭還自金, 帝廻詔, 不允前王讓位曰, “卿襲封二紀, 作屛一邦, 近者, 屢愆信使之期, 徒有郵書之報, 向深憂乎變故, 今始閱于封章. 稱疾疹之淹延, 懼保釐之曠闕, 述其父命之遺囑, 欲以弟…
    #왕숙 #관례 #선덕전 #소재도량 #유응규 #금나라 #임수 #봉은사 #대관전 #보살계 #순문사 #완안정 #불진연 #초참연 #평장사 #서공 #덕소 #왕사 #좌간의 #김신윤 #우간의 #김보당 #좌산기상시 #이소응 #좌사간 #이응초 #우정언 #최당 #재상 #최윤의 #간의 #이원응 #중승 #오중정 #환관 #정함 #고신 #서해안찰사 #박순고 #노인성 #지수주사 #오녹지 #승선 #이준의 #문극겸 #대성 #순검군 #황성 #판대부사 #공부시랑 #예부원외랑 #전중내급사 #위위소경 #대부소경 #선경전 #백고좌 #임규 #정중부 #이의방 #자성문 #산호정 #수창궁 #건흥절 #고주사 #예부시랑 #장익명 #도부서 #황공우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공민왕
    공민왕 19년(1370) 경술년
    공민왕 19년(1370) 경술년
    十九年 春正月 甲午 彗見東北方. 我太祖以騎兵五千, 步兵一萬, 自東北面, 踰黃草嶺, 行六百餘里, 至雪寒嶺, 又行七百餘里, 甲辰, 渡鴨綠江. 是夕西北方, 紫氣漫空, 影皆南. 書雲觀言, 猛將之氣, 王喜曰, “予遣李太祖舊諱必其應也.” 時東寧府同知李吾魯帖木兒, 聞太祖來…
    #태조 #동북면 #황초령 #설한령 #압록강 #서운관 #이성계 #동녕부 #동지 #이오로테무르 #우라산성 #야둔촌 #이원경 #고안위 #편전 #황성 #만호 #궁대 #정릉 #능호 #왕륜사 #호승 #지공 #원구 #밀직부사 #내포 #병선 #선주 #양백연 #원나라 #추밀부사 #바이주 #오로테무르 #이백연 #이장수 #이천우 #현다사 #김아로정 #나하추 #삼중대광 #사도 #모시베 #카라바투 #에센부카 #회왕 #의릉 #지신사 #염흥방 #판사천감사 #진영서 #운암사 #영전 #관음전 #연복사 #도사 #서사호 #조천궁 #발해 #풍천 #회빈문 #양릉정 #봉천전 #예부상서 #최량 #대화악 #대남해 #신사 #기청제 #신돈 #위왕 #상보사승 #설사 #왕전 #대통력 #금단 #색단 #선라 #사 #상국 #시중 #이춘부 #이인임 #성준득 #명나라 #삼황오제 #양나라 #무제 #유강 #요동 #심양 #조하의주 #금룡저사 #홍숙이견 #향 #축판 #번 #폐백 #순 #탕 #마암 #예부주사 #백례 #시의사인 #복겸 #주나라 #한 #당 #송나라 #책시 #향시 #회시 #오경 #전시 #하남성 #산동성 #산서성 #섬서성 #북평성 #복건성 #강서성 #절강성 #호광성 #광동성 #광서성 #고려 #안남 #점성 #행성 #중서성 #예부 #등문고 #고시관주문 #동고시 #유관 #유사 #제조관 #감시관 #감찰어사 #감찰사 #공급관 #응천부 #수장시권관 #미봉관 #등록관 #대독관 #수권관 #순작관 #도독부 #수어관 #백호 #정지 #손창보 #난수산 #진군상 #명주 #포진보 #최용소 #개경 #비서감직장 #하상봉 #사전 #요 #공자 #강사찬 #금인 #탐라 #갈 #도산 #상보시승 #고려국왕 #금수융단 #비단필 #사라 #반서 #달달목자 #쿠쿠다스 #신문관 #재상 #윤시우 #윤환 #김장로 #태복시 #선휘원 #중정원 #자정원 #제주 #선사 #맹원철 #경신군 #장강 #좌부장군 #이문충 #부장군 #조용 #응창부 #매적리팔라 #총병관 #북평 #숭례후 #아유르시리다라 #교지 #애마 #두목인 #몽고 #지용수 #부원수 #추밀원부사 #판사농시사 #한복 #수창궁 #윤공 #남경 #적전 #약왕원 #윤택 #광명사 #혜근 #공부상서 #권균 #박실 #김도 #유백유 #제과 #승상 #코케테무르 #추정도감 #판사 #대간 #6부 #의주 #대성 #달마대 #대장군 #진변도호부사 #예의판서 #한수 #보평청 #장자온 #진변도호부 #안무사 #기샤인테무르 #요심 #한인 #강계만호부 #사관 #사헌부 #이부 #간의대부 #오중륙 #태백성 #일관 #지문하성사 #이금강 #원수부 #원수 #은인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우왕
    우왕 5년(1379) 기미년
    우왕 5년(1379) 기미년
    五年 正月 乙亥 遼東都指揮司遣鎭撫任誠來, 索被虜人及逃軍, 咨曰, “洪武三年十一月, 高麗軍所虜, 遼陽官民男婦千餘人及各衛軍人, 逃往彼處者, 悉發解送.” 時遼東人傳言, 高麗遣兵助北元故, 托以遣誠來, 覘虛實. 以密直副使安翊爲楊廣道計點使. 諫官上言, “民惟邦本, 本固邦…
    #요동도지휘사 #진무 #임성 #고려 #북원 #밀직부사 #안익 #양광도 계점사 #간관 #후소 #좌소 #우왕 #일본 #승려 #법인 #흉년 #연등회 #우박 #왜적 #순천 #조양 #진원 #정지 #면주 #판서 #최유용 #계점사 #지문하사 #우인열 #경상도 상원수 #목자안 #전라도 부원수 #도순문사 #심덕부 #김보생 #명나라 #조서 #입조 #세공 #예부상서 #주몽염 #고려국왕 #왕전 #한나라 #고구려 #광무제 #당나라 #송나라 #거란 #여진 #원나라 #세조 #춘추 #중서성 #주차사 #소루 #조진 #첨수참 #문천식 #오계남 #도강현 #고성군 #전공판서 #이연 #호군 #임언충 #요동 #총병 #반경 #섭왕 #인원보 #서북면 체찰사 #곡성 #남원 #판관 #순천부 #동지 #이우루스테무르 #황성 #만호 #정룡 #윤송 #양광도 도순문사 #지진 #주겸 #주저 #노국공주 #안산군 #판개성부사 #이림 #후덕부 #철성부원군 #풍천 #지주사 #유자 #안렴 #김간 #업정강천호 #임견 #이길생 #원수 #참형 #문화현 #안집사 #범영부 #장형 #단오 #격구 #태백성 #한국주 #대내전 #의홍 #박거사 #가뭄 #판전의 #양종진 #초제 #벽운 #민중 #도사 #신주 #철원군 #환관 #김실 #요 #순 #걸왕 #주왕 #안주원수 #최원지 #영청현 #검교예의판서 #윤사충 #울주 #계림부 #청도군 #홍인륭 #계림 #강릉도 #조인벽 #강릉도원수 #박수경 #안동도원수 #부윤 #첨원 #보비 #교사 #나하추 #문카라부카 #저포 #마포 #용주 #의주 #장려 #낙안군 #영녕군 #판삼사사 #손홍량 #정평 #이자용 #구주절도사 #미나모토료순 #무릉도 #여미현 #수주 #곽주 #계림윤 #김광부 #합포도순문사 #요동도사 #도평의사사 #합라 #쌍성 #테그스타이테무르 #지밀직사사 #지용기 #전라도원수 #지평현 #정당문학 #허완 #동지밀직 #윤방안 #내재추 #임견미 #대간 #최영 #단계현 #거창현 #야로현 #가수현 #해인사 #선산 #득익사 #이을진 #충주․단양도병마사 #장백숙 #청주병마사 #산음 #진주 #사주 #함양 #서해도 #양광도 #수군 #숭경윤 #양광도 상원수 #이현 #유방계 #연로 #태후전 #문하평리 #이무방 #판밀직 #배언 #진정표 #김의 #왕도 #왕정 #왕흔 #왕저 #심왕 #왕우 #왜국 #찬성사 #목인길 #양제 #전라도 #삼사좌사 #권중화 #조민수 #회암 #서운관 #도선 #경상도원수 #종부부령 #이의 #찬성사상의 #양백익 #창녕 #유배 #서경원수 #사헌부 #시비 #지윤 #양백연 #홍중선 #김도 #원순 #유보 #개경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오행지(五行志)수행(水行)
    12. 뇌진(雷震)․뇌전(雷電)
    雷震․雷電
    정종(定宗) 3년(984) 9월. 왕이 천덕전(天德殿) 천덕전 고려시대 개경(開京)의 궁궐 안에 창건된 정전(正殿)으로, 성종 때 건덕전(乾德殿)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천명을 받아 왕이 되었다는 것과 황제를 자임하여 천(天)자를 넣었으나, 성종 때 중…
    #천덕전 #천둥 #천성전 #황성 #주작문 #회빈문 #승평문 #의춘루 #사천소감 #지태사국사 #임광한 #역 #중기 #천둥 번개 #흥왕사 #벼락 #내제석원 #창덕문 #안정방 #우박 #건릉 #용화원 #서화문 #개국사 #송악 #서경 #중흥사 #현화사 #용흥사 #문덕전 #남산 #패강 #월개요 #월생산 #신사 #개경 #귀법사 #지리산 #장성현 #영암군 #덕풍방 #오정방 #영창방 #송림사 #진관사 #장작감주부 #최효숙 #대화궐 #건룡전 #자운방 #운흥창 #태묘 #선의문 #선경전 #광덕문 #장군 #박정모 #대창 #서면 #내원당 #국자감 #보제사 #염주 #서북면 안집사 #김견 #적침 #활인당 #흥천사 #한천군 #왕규 #지진 #번개 #목빙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지리지(地理志)
    왕경(王京) 개성부(開城府)
    왕경王京 개성부開城府
    본래 고구려의 부소갑(扶蘇岬)인데 신라에서 송악군(松嶽郡)으로 고쳤다. 태조 2년(919)에 송악(松嶽)의 남쪽에 도읍을 정하여 개주(開州)라 하고 궁궐을 창건하였다. 【회경전(會慶殿) 회경전 고려 왕궁의 정전(正殿). 창합문(閶閤門) 안에 있었다. 이곳에서 …
    #고구려 #부소갑 #신라 #송악군 #태조 #송악 #개주 #회경전 #승경전 #응건전 #봉원전 #장령전 #천령전 #함경전 #향복전 #건명전 #저상전 #명경전 #금명전 #건덕전 #대관전 #문덕전 #수문전 #연영전 #집현전 #선정전 #광인전 #선명전 #목청전 #함원전 #정덕전 #만수전 #영수전 #중광전 #강안전 #연친전 #목친전 #오성전 #영헌전 #자화전 #집희전 #정양궁 #서화전 #수춘궁 #여정전 #망운루 #관상루 #의춘루 #소휘루 #신봉문 #의봉문 #춘덕문 #체통문 #대초문 #태정문 #창합문 #운룡문 #회일문 #이빈문 #창덕문 #흥례문 #개경문 #황극문 #금마문 #연수문 #천복문 #자신문 #통천문 #영통문 #경양문 #양화문 #안우문 #순우문 #좌우승천문 #통가문 #좌우선경문 #부우문 #좌우연우문 #봉명문 #교화문 #장녕문 #조인문 #선화문 #통인문 #흥태문 #분방문 #양춘문 #광양문 #대평문 #중화문 #백복문 #보화문 #통경문 #성덕문 #동화문 #경도문 #서화문 #향성문 #대청문 #청태문 #영안문 #흥안문 #시전 #방리 #5부 #광종 #개경 #황도 #성종 #개성부 #적현 #기현 #현종 #현령 #정주 #덕수 #강음 #장단현령 #송림 #임진 #토산 #임강 #적성 #파평 #마전 #상서도성 #경기 #경성 #안정방 #봉향방 #영창방 #송령방 #양제방 #창령방 #홍인방 #덕수방 #덕풍방 #안흥방 #덕산방 #안신방 #삼송방 #오정방 #건복방 #진안방 #향천방 #정원방 #법왕방 #흥국방 #오관방 #자운방 #왕륜방 #제상방 #사내방 #사자암방 #내천왕방 #남계방 #흥원방 #홍도방 #앵계방 #유암방 #변양방 #광덕방 #성화방 #나성 #정부 #나각 #자안문 #안화문 #성도문 #영창문 #안정문 #숭인문 #홍인문 #선기문 #덕산문 #장패문 #덕풍문 #영동문 #회빈문 #선계문 #태안문 #앵계문 #선엄문 #광덕문 #건복문 #창신문 #보태문 #선의문 #산예문 #영평문 #통덕문 #황성 #광화문 #통양문 #주작문 #남훈문 #안상문 #귀인문 #영추문 #장평문 #건화문 #금요문 #태화문 #상동문 #화평문 #조종문 #선인문 #청양문 #현무문 #북소문 #공장 #문종 #지개성부사 #도성 #서해도 #평주 #우봉군 #충렬왕 #부윤 #개성현 #공민왕 #송도 #공양왕 #장단 #개성 #해풍 #우봉 #양광도 #한양 #사천 #교하 #고봉 #풍양 #심악 #행주 #해주 #견주 #포주 #봉성 #김포 #양천 #부평 #동성 #석천 #황조 #황어 #부원 #과주 #인주 #안산 #금주 #남양 #수안 #교주도 #영흥 #안협 #승령 #삭령 #철원 #연안 #백주 #협주 #신은 #통진 #안주 #봉주 #서흥 #서원 #영평 #이천 #연주 #삭녕 #강화 #교동 #곡주 #재령 #협계 #도관찰출척사 #수령관 #왕도 #진산 #숭악전 #신사 #용수산 #진봉산 #동강 #서강 #예성강 #벽란도 #속군 #속현 #동비홀 #경덕왕 #개성군 #개성현령 #대정 #의조 #용녀 #기평도 #우잠군 #우령 #수지의 #예종 #감무 #구룡산 #국조 #성골장군 #성거산 #박연 #상연 #하연 #가뭄 #기우제 #이영간 #승천부 #지부사 #충선왕 #해풍군 #백마산 #장원정 #도선 #송악명당기 #태사령 #김종윤 #병악 #하원도 #중방제 #중방 #반주 #덕물현 #인물현 #흥왕사 #치소 #조강도 #인녕도 #굴압현 #강서 #영현 #인종 #장천성현 #야야 #야아 #목종 #시중 #한언공 #단주 #장단도 #가곡 #장항현 #고사야홀차 #장단현 #영통사 #송경 #아간 #강충 #보육 #마아갑 #오사함달현 #진임성현 #오아홀 #남경 #한양윤 #이안 #태묘 #임진도 #약지두치현 #지섬 #삭두 #여비 #고려 #불일사 #오관산 #문충 #악부 #오관산곡 #마전천현 #이사파홀 #임단 #적성현 #칠중성 #중성 #내소군 #감악 #소사 #거란 #당나라 #설인귀 #산신 #파해평사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Next PageLast Page총 16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