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산 서면에서 왜선을 격포하여 물리친 것을 논공 행상하게 하다.
전라도수군처치사 박실(朴實)이 계하기를,
“왜선 1척이 3월 20일에 부안현 위도(猬島)에서, 25일에는 만경현 양초(陽草)에서 고기 잡는 사람을 침략하므로 신이 즉시 진무인 전호군 이광경(李光敬)으로 하여금 병선을 거느리고 이를 뒤쫓게 하여, 4월 1…
-
왜적을 물리친 공으로 전라도 처치사 박실에게 말과 옷 등을 내리다.
전라도처치사 박실(朴實)이 왜적의 배 1척을 체포하고, 적의 머리 8급을 베어 진무 조여경(趙餘慶)으로 하여금 이를 바치니, 여경에게 옷 2벌을 하사하고, 승문원교리 이세형(李世衡)을 보내어 박실에게 안장 갖춘 말과 옷 1습, 선온을 내리고, 이내 명하기를,
…
-
모초도에서 왜인을 잡은 군인과 군관, 공을 세운 염간들에게 상을 주라고 청하다.
전라도도안무사 박실(朴實)과 선위별감 이세형(李世衡) 등이 계하기를,
“모초도(茅草島)에서 왜인을 사로잡은 군인과 군관들은 병조에 명을 내려서, 1등으로 공을 세운 염간(鹽干)은 보충군을 삼게 하시고, 2등으로 공을 세운 염간과 기관(記官)은 그 자신의…
-
상이 박자안의 일을 예로 들면서, 군기누설을 엄히 하라고 명하다.
도승지 이목(李楘)이 아뢰기를,
“변란 후 인심이 부박해져서 어떤 계획이 세워지면 대부분 누설되고 말기 때문에 지난번 연석에서 대신이 아뢴 것이 비록 의구심을 가라앉히기 위한 의도에서였다고 하더라도 국가의 중대한 일을 어찌 붓을 쥐고 있는 신하들이 참여…
-
박실이 왜를 막은 공으로 그의 아버지 박자안을 죽음에서 구하다.
순군천호(巡軍千戶) 한을기(韓乙氣)를 보내어 박자안(朴子安)을 군중에서 베이게 하였는데, 그때에 자안이 왜적을 쫓아 바야흐로 전라도 진포(鎭浦)에 이르렀다. 일이 저 적에 관계되므로 비밀히 하고 선포하지 않으니, 바깥 사람들이 알수 없었다. 그 아들 박실(朴實…
-
세자가 왜적을 막지 못한 박자안과 그의 아들 박실의 효를 논하다.
세자가 빈객(賓客) 정탁(鄭擢)과 더불어 충효의 도리를 강론하였다.
……
세자가 말하였다.
“사람의 죽고 사는 것은 명에 있고, 사람이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정축년에 박자안(朴子安)이 왜적을 막지 못하였으…
-
왜선을 격파한 도체찰사 박자안과 절제사 심귀령에게 술을 내리다.
삼도도체찰사(三道都體察使) 박자안(朴子安)과 조전절제사(助戰節制使) 심귀령(沈龜齡)에게 궁온(宮醞)을 내려 주었다. 자안 등이 전라도에서 왜선 1척을 잡고 머리 20급을 베고 5인을 생포하였는데, 그 중 1명은 본국에서 잡혀 간 자였다. 그러므로 자안이 제 집…
-
상왕과 임금이 대신과 대마도 정벌을 논의하다.
양상(兩上)이 유정현(柳廷顯)·박은·이원·허조(許稠)들을 불러,
“허술한 틈을 타서 대마도를 치는 것이 좋을까 어떨까.”
를 의논하니, 모두 아뢰기를,
“허술한 틈을 타는 것은 불가하고, 마땅히 적이 돌아오는 것을 기다려서…
-
이로군의 접전에서 박실이 많은 군사를 잃었으나 마침내 적이 물러나 수호를 청하다.
이종무 등이 배를 두지포(豆知浦)에 머무르게 하고 날마다 편장(褊將)을 보내어 육지에 내려 수색하여 잡고, 다시 그 가옥 68호와 배 15척을 불사르고, 도적 9급을 베고, 중국인 남녀 15명과 본국인 8명을 얻었다. 적이 밤낮으로 우리 군사 막기를 생각하므로…
-
정역 ․ 권홍 ․ 이종무 등을 승진시키고, 다시 병선을 거느리고 대마도 왜적을 치게 하다.
정역(鄭易)에게 한성 부사를 맡기고, 권홍(權弘)으로 영가군(永嘉君)을 삼고, 이종무로 의정부 찬성사, 이순몽으로 좌군 총제, 박성양(朴成陽)으로 우군 동지총제(右軍同知摠制)를 삼아, 동정한 여러 절제사는 모두 좌목을 올리고, 싸움에 죽은 병마부사 이상은 쌀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