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마도 종언륙 및 그의 모친이 토의를 바치다.
대마도수호 종언륙(宗彦六) 및 그의 모친이 사신을 보내어 토의를 바쳤다. 참찬(參贊) 허조(許稠)가 계하기를,
“마땅히 그 사신을 후대하고 답례도 넉넉하게 하여야 한다.”
하니, 그대로 따랐다.
-
대마도를 정벌할 때 잡아온 왜인을 돌려보내다.
처음에 태종이 대마도를 정벌하여 좌위문삼랑(左衛門三郞)과 등차랑(藤次郞)을 잡아와서 군현에 나누어 두었다가, 태종이 그들 2사람은 대마도에서 호족이었다는 말을 듣고, 서울로 불러 올려 집을 주고 양가집 딸을 아내로 주고 모든 음식․의복 등 물건을 넉넉히 주었다…
-
왜승 가하 ․ 통사 이춘발 ․ 윤인시를 대질 심문한 후 불문에 붙이기로 하고 석방하다.
왜승 가하(加賀)에게서 나온 서장의 사의가 횡역하고 무례하거늘 규주(圭籌) 등이 모두 알지 못한다 하며, 하늘을 가리켜 맹세하면서 힘써 변명하고, 가하는 도리어
“통사 이춘발(李春發)이 나를 꾀면서 ‘만일 이 글만 내놓게 되면 국가에서 반드시 후하게 상…
-
강화에 목장을 쌓는 것에 대해서 논의하다.
경기감사가 강화(江華)의 목장을 쌓는 군사의 수효와 기일에 대하여 아뢰니, 임금이 말하기를,
“전일에 판부사 최윤덕(崔閏德)이 친히 살펴보고 와서 계하기를, ‘강화에는 물과 풀이 많고 좋으므로 그곳에 사는 백성을 다른 고을로 이사시키고, 말 먹이는 장소…
-
허조가 농한기에 완전하지 못한 성보를 수리하도록 건의하다.
허조(許稠)가 계하기를,
“예로부터 태평한 세월이 오래 계속되면, 수비와 방어하는 일이 흔히 해이하게 되어, 불우의 환란을 당하게 되는 것이 온데, 경상도 연해 각 고을에는 왜구들이 아침저녁으로 오고가고 하는데, 성보가 완전하지 못하오니 이를 염려하지 …
-
장사하는 왜인들에게 세금을 거두는 문제를 논의하다.
판부사 허조(許稠)가 아뢰기를,
“삼도(三島)의 왜인이 내이포 등지에 와서 살면서 장사를 하여 살아가는 자가 꽤 많사오니, 청컨대 그들에게 세금을 거두도록 하소서.”
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기해년 이후로 상선(商船)만 불…
-
태재소이 등이 예조에 글을 보내 미곡과 저포 등을 내려줄 것을 간청하다.
태재소이(太宰小二)와 소법사와(小法師瓦)가 예조에 글을 보내기를,
“지난해 겨울부터 대마주에 와서 우거하고 있사오니 보호 구제해 주시기를 원하오며, 또 경도(京都)에 예물을 보내고자 하오니, 비옵건대, 면주 혹은 저포 1천 필과 미곡을 하사해 주소서.”…
-
일본국 대내전이 쌀과 표피를 요청하다.
일본국 대내전(大內殿)이 쌀과 표피(豹皮)를 요청하였다. 임금이 신상(申商)에게 이르기를,
“찬성 허조(許稠)가 일찍이 말하기를, ‘대마도는 토지가 척박하여 의식을 순전히 우리나라만을 쳐다보고 있으니, 그들의 요청을 들어주어도 좋으나 일본 본국은 토지가…
-
맹사성 ․ 허조 ․ 신상 ․ 정초 ․ 황보인 등으로 하여금 도서에 관한 일을 의논케 하다.
우의정 맹사성(孟思誠)․찬성 허조(許稠)․예조판서 신상(申商)․이조참판 정초(鄭招)․예문관제학 윤회(尹淮)․전 총제(摠制) 신장(申檣)․예조참의 이긍(李兢)을 불러 지신사 황보인(皇甫仁)으로 하여금 일을 의논하게 하였다.
…… 두번째 의제에 이르기를,…
-
야인과 왜인이 아회에 참예할 때 동서로 나누어 세울 것을 결정하다.
임금이 좌우 신하들에게 이르기를,
“전날 야인과 왜인의 사객이 함께 아회(衙會)에 참예하면, 그 반열의 서차는 야인이 앞에 있고 왜인의 사객이 뒤에 있지 않았던가.”
하니, 찬성 허조(許稠)가 대답하기를,
“왜의 사객이 뒤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