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MKSDB / DB / 한일관계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Historical Materials

Article 19,598 Korean Studies Content 453 View with Viewer
Sort
By most recent record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6년 (1424)
    평양 부원군 김승주의 졸기.
    평양부원군(平陽府院君) 김승주(金承霔)가 졸하였다. 승주는 전라도 순천부 여수(麗水) 사람으로 정주목사(定州牧使) 김유정(金惟精)의 아들인데, 너그럽고 중후하며 위의가 있었다. 홍무 경신년에 비로소 벼슬하여 흥위위별장(興威衛別將)에 제수되었고, 갑자년에 군기소…
    #김승주 #전라도 #순천부 #여수 #김유정 #왜구 #왜 #김유량 #김유검 #김유온 #김유공 #김유양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태조실록
    태조 4년 (1395)
    김영렬과 김승주에게 왜구를 공격할 계책을 논의케 하다.
    도평의사사에 명하여 수군 절제사 김영렬(金英烈)과 형조전서 김승주(金承霔)를 불러서 왜구를 공격할 계책을 논의하게 하였다.
    #김영렬 #김승주 #왜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태종실록
    태종 13년 (1413)
    명에서 돌아온 통사 엄밀이 보고한 중국의 일본 정벌 계획에 대해 의논하다.
    하정사(賀正使)의 통사(通事) 임밀(林密)이 경사에서 돌아와 아뢰었다. “정월 20일에 황제가 선유하기를, ‘일본국 노왕(老王)은 지성으로 사대하여 도둑질함이 없었는데, 지금의 사왕(嗣王)은 초절(草竊)두타산성(頭陀山城)동해시와 삼척시의 경계에 위치한 …
    #임밀 #일본국 #북경 #길천군 #일본 #정왜 #이현 #서울 #왜사 #김승주 #황희 #여칭 #전라도 #강계 #경원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태종실록
    태종 14년 (1414)
    호조참의 황자후가 왜구대책에 대해 복명하다.
    호조참의(戶曹參議) 황자후(黃自厚)가 복명하였다. 임금이 황자후가 살펴 본 바대로 배가 정박하는 곳을 개착할 만하다고 하니, 김승주(金承霔)가, “왜구가 때없이 침입하니, 마땅히 봉수를 삼가고 척후를 엄격히 해야 합니다. 배를 정박하는 해문(海門)은 …
    #황자후 #김승주 #왜구 #유사눌 #건강 #북경 #유양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2년 (1420)
    대마도 왜인의 무례함을 다스릴 방법을 논하다.
    정사를 보았다. 허조가 계하기를, “대마도의 사자를 어떻게 처리하리까.” 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부왕께서 말씀하시기를, ‘대마도가 송희경을 박대하였을 뿐 아니라, 또 그들의 말이, 우리가 등차랑(藤次郞)과 삼미삼보라(三…
    #허조 #대마도 #송희경 #등차랑 #삼미삼보라 #거제도 #변계량 #김승주 #동정 #구주절도사 #구주사자 #박은 #원숙 #조말생 #구주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Next PageLast Page총 5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