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조태조 원년(918) 무인년태조 원년(918) 무인년원년 여름 6월 병진일. 태조가 포정전(布政殿) 포정전 철원(鐵圓)(지금의 강원도 철원군)에 있던 전각의 이름이다.에서 즉위하여 국호를 고려(高麗) 고려 고구려를 부흥하고 계승한다는 의미를 뚜렷이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 국호이다. 궁예도 효공왕 5년(90…#태조 #포정전 #고려 #천수 #사군 #한찬 #총일 #청주 #윤전 #애견 #마군장군 #환선길 #김행도 #광평시중 #금강 #내봉령 #임명필 #순군부령 #파진찬 #임희 #병부령 #소판 #진원 #창부령 #염장 #의형대령 #귀평 #도항사령 #손형 #물장성령 #진경 #내천부령 #진정 #진각성령 #알찬 #임적여 #광평시랑 #수순군부경 #능준 #창부경 #권식 #내봉경 #김인 #영준 #병부경 #최문 #견술 #일길찬 #박인원 #김언규 #백서성경 #임상난 #도항사경 #요인휘 #향남 #물장경 #능혜 #희필 #내군경 #광평낭중 #강윤형 #내봉감 #순군부낭중 #신일 #광평사 #국현 #원외랑 #예언 #내봉리결 #내봉사 #곡긍회 #평찰 #유길권 #순군낭중 #사성 #낭사 #박질영 #시중 #종간 #내군장군 #은부 #궁예 #박유 #내장 #식읍 #내봉낭중 #능범 #심곡사 #내봉원외랑 #윤형 #이긍회 #내봉원외 #백서성공목 #직성 #백서낭중 #민강 #마군 #대장군 #이흔암 #광평랑 #능식 #순필 #열평 #청주영군장군 #견금 #직예 #견훤 #삭방 #골암성 장수 #윤선 #도참설 #송악 #부양 #내고 #홍유 #배현경 #신숭겸 #복지겸 #견권 #권신 #염상 #김락 #연주 #마난 #민합 #한신일 #감미현 #훤식 #웅주 #운주 #후백제 #동남도 초토사 #지아주제군사 #창부낭중 #유문율 #순군리 #임춘길 #현율 #병부낭중 #구진 #나주도 대행대시중 #유권열 #상주 #아자개 #구정 #직성관 #주선갈 #경훈 #김전영 #평양 #대도호 #왕식렴 #진각성경 #유척양 #수의형대경 #능률 #내시서기 #청주장수 #진선 #선장 #팔관회 #의봉루
-
태조태조 원년(918) 무인년태조 원년(918) 무인년元年 夏六月 丙辰 卽位于布政殿, 國號高麗, 改元天授. 丁巳 詔曰, “前主當四郡土崩之時, 剷除寇賊, 漸拓封疆. 未及兼幷海內, 俄以酷暴御衆, 以姦回爲至道, 以威侮爲要術. 徭煩賦重, 人耗土虛. 而猶宮室宏壯, 不遵制度, 勞役不止, 怨讟遂興. 於是, 竊號稱尊, 殺妻戮子…#태조 #포정전 #고려 #천수 #사군 #한찬 #총일 #청주 #윤전 #애견 #마군장군 #환선길 #김행도 #광평시중 #금강 #내봉령 #임명필 #순군부령 #파진찬 #임희 #병부령 #소판 #진원 #창부령 #염장 #의형대령 #귀평 #도항사령 #손형 #물장성령 #진경 #내천부령 #진정 #진각성령 #알찬 #임적여 #광평시랑 #수순군부경 #능준 #창부경 #권식 #내봉경 #김인 #영준 #병부경 #최문 #견술 #일길찬 #박인원 #김언규 #백서성경 #임상난 #도항사경 #요인휘 #향남 #물장경 #능혜 #희필 #내군경 #광평낭중 #강윤형 #내봉감 #순군부낭중 #신일 #광평사 #국현 #원외랑 #예언 #내봉리결 #내봉사 #곡긍회 #평찰 #유길권 #순군낭중 #사성 #낭사 #박질영 #시중 #종간 #내군장군 #은부 #궁예 #박유 #내장 #식읍 #내봉낭중 #능범 #심곡사 #내봉원외랑 #윤형 #이긍회 #내봉원외 #백서성공목 #직성 #백서낭중 #민강 #마군 #대장군 #이흔암 #광평랑 #능식 #순필 #열평 #청주영군장군 #견금 #직예 #견훤 #삭방 #골암성 장수 #윤선 #도참설 #송악 #부양 #내고 #홍유 #배현경 #신숭겸 #복지겸 #견권 #권신 #염상 #김락 #연주 #마난 #민합 #한신일 #감미현 #훤식 #웅주 #운주 #후백제 #동남도 초토사 #지아주제군사 #창부낭중 #유문율 #순군리 #임춘길 #현율 #병부낭중 #구진 #나주도 대행대시중 #유권열 #상주 #아자개 #구정 #직성관 #주선갈 #경훈 #김전영 #평양 #대도호 #왕식렴 #진각성경 #유척양 #수의형대경 #능률 #내시서기 #청주장수 #진선 #선장 #팔관회 #의봉루
-
掾屬문종때 두었다. 두었다 백관지에는 연속(掾屬)들이 문종조에 처음 설치된 듯 기술되어 있으나 이는 잘못된 설명이다. 이(吏)의 존재는 이미 태조 때부터 보이고 있으며, 또 경종 원년(976)의 전시과에도 ‘雜吏’에 대한 토지의 지급 규정이 실려 있다. 그러므로 …
-
백관지(百官志)상서성(尙書省)尙書省태조는 태봉(泰封)의 제도를 답습해 광평성(廣評省)을 설치하고 백관을 모두 통솔하게 했는데, 여기에는 시중(侍中)․시랑(侍郞)․낭중(郎中)․원외랑(員外郞)이 있었다. 있었다 광평성은 태봉 최고의 관부였는데, 왕위에 오른 고려 태조 왕건은 그 체제를 그대로 두고…
-
田柴科태조 23년(940). 처음으로 역분전(役分田) 역분전 태조 23년(940)에 후삼국통일과 고려개국에 공로가 있는 조신과 군사들에게 선악과 공로의 대소에 따라 지급한 토지를 말한다. 그 성격에 대해서는 수조권(收租權) 분급제인 전시과(田柴科)의 전신으로 파악하…#전시과 #역분전 #직관 #산관 #자삼 #전지 #시지 #단삼 #비삼 #녹삼 #전중 #사천 #연수 #상선원 #잡업 #잡리 #안일호장 #직전 #내사령 #시중 #내사시랑평장사 #문하시랑평장사 #치사시중 #참지정사 #검교태사 #6부의 상서들 #어사대부 #좌․우산기상시 #태상경 #치사좌․우복야 #치사태자태보 #전중감 #소부감 #장작감 #개성윤 #상장군 #산좌․우복야 #좌․우승 #시랑 #간의대부 #대장군 #산육상서 #군기소경 #태상소경 #급사중승 #태자빈객 #태자첨사 #산경 #산감 #산시랑 #소경 #소감 #국자사업 #태복감 #산군기감 #산상장군 #태자서자 #낭중 #군기소감 #비서승 #전중승 #내상시 #국자박사 #중낭장 #절충도위 #태의감 #합문사 #선휘원 #선휘판사 #산소경 #산소감 #원외랑 #시어사 #기거랑사 #봉어 #내급사 #낭장 #과의 #태복소감 #태사령 #합문부사 #산낭중 #산대장군 #산합부사 #산태의감 #태자유덕 #태자가령 #태자솔경영 #태자복 #전중시어사 #좌․우보궐 #시의 승 #감의 승 #비서랑 #국자조교 #태학박사 #태의소감 #상약봉어 #통사사인 #태자중윤 #태자중사인 #산원외랑 #산태복소감 #산태사령 #산합문부사 #태상박사 #좌․우습유 #감찰어사 #내알자감 #육위의 장사 #육국의 직장 #군기승 #태자세마 #사관정 #산시승 #산감승 #산태의소감 #산상약봉어 #주서 #녹사 #도사 #내시백 #시주부 #감주부 #사문박사 #태학조교 #중상령 #경시령 #무고령 #대관령 #대창령 #전구령 #공어령 #전객령 #태악령 # #별장 #태복승 #태사승 #시어의 #상약직장 #내전숭반 #대리평사 #합문지후 #산직장 #산중낭장 #산절충도위 #산사관정 #약장랑 #전선랑 #궁문랑 #전설랑 #6위의 녹사들 #정팔품승 #정팔품령 #내알자 #동․서두공봉관 #산원 #지휘사 #협율랑 #태자감승 #산시주부 #산감주부 #산랑장 #산과의 #산내전숭반 #산합문지후 #산태복승 #산태사승 #산시어의 #산상약직장 #종8품승 #종8품령 #사문조교 #교위 #영대랑 #보장정 #설호정 #태의승 #태의박사 #율학박사 #좌․우시금 #좌․우반전직 #산정팔품 #산별장 #산지휘 #산공봉관 #대축 #사름 #사고 #구품승 #구품주사 #구품록사 #비서정자 #제술등과장사랑 #명경등과장사랑 #서학박사 #산학박사 #사진 #사력 #복정 #복박사 #감후 #식의 #의정 #의좌 #율학조교 #전서박사 #판관 #대정 #전전승지 #중추별가 #선휘별가 #은대별가 #산교위 #산좌․우반전직 #산시금 #여러 업의 장사랑 #영사 #서사 #감사 #감작 #서령사 #해서내승지 #객성승지 #합문승지 #차전전승지 #친사 #마군 #산전전승지 #산대정 #산전전부승지 #대상사의 #대상재랑 #국자전학 #지반 #주약 #약동 #군장관 #통인 #청두 #직성 #전구관 #당인 #추장 #감선 #인알 #유외잡직 #보군 #잡색원리 #전시 #군인 #한인 #중서령 #상서령 #문하시중 #문하시랑 #중서시랑 #좌․우복야 #좌․우상시 #7시의 경들 #비서감 #국자좨주 #상서좌․우승 #사천감 #태자소첨사 #장군 #우소첨사 #이부제조시랑 #군기감 #좌우서자 #좌우유덕 #중랑장들 #7시의 소경들 #비서소감 #전중소감 #장작소감 #소부소감 #사천소감 #급사중 #중서사인 #어사중승 #태자솔경령 #낭중들 #합문인진사 #태자좌우찬선대부 #낭장들 #원외랑들 #기거랑 #기거사인 #6국의 봉어들 #전중내급사 #능의 령 #태묘령 #태자약장랑 #7시의 승들 #3감의 승들 #사천승 #6위의 장사들 #내직랑 #궁문감 #별장들 #문하녹사 #중서주서 #6국의 직장들 #첨사부직장 #산원들 #대상 #좌승 #상서도사 #7시의 주부 #3감의 주부 #대악령 #대영령 #내원령 #공역령 #장야령 #여러 능의 승 #태묘승 #사천주부 #동서두공봉관 #교위들 #원보 #정조 #군기주부 #경서승 #중상승 #무고승 #대악승 #대영승 #태창승 #대관승 #전구승 #내원승 #공역승 #장야승 #비서교서랑 #양온승 #사의령 #수궁령 #전오령 #도염령 #잡직령 #도교령 #장생령 #육학박사 #대정들 #원윤 #도염승 #잡직승 #도교승 #장생승 #수궁승 #사의승 #전옥승 #태사사진 #태사사역 #태사감후 #상식식의 #사천박사 #태의의정 #사천복정 #주사들 #어사대녹사 #중추원별가 #문하대조 #문림랑 #장사랑 #도지 #선두 #사인 #영사들 #주사 #중서서예 #비서서예 #사관서예 #태사서예 #의계사 #사천복사 #사천복조교 #부전전승지 #예빈승지 #수의박사 #당직 #전식 #전설 #역보군 #여러 서영사들 #여러 사들 #상승내승지 #부내승지 #태사전사 #주금사 #공선 #주식 #공설 #장설 #당종 #계사 #시계사 #시서예 #감문군 #잡류 #무산계 #관동대장군 #운휘장군 #장무장군 #선위장군 #명위장군 #영원장군 #정원장군 #유기장군 #유격장군 #요무교위 #요무부위 #진위교위 #진위부위 #치과교위 #치과부위 #익휘교위 #익휘부위 #선절교위 #선절부위 #어모교위 #어모부위 #인용교위 #인용부위 #배융교위 #배융부위 #대장 #부장 #잡장인 #어전부악건 #어전부악인 #지리업승인 #별사전 #대덕 #대통 #부통 #지리사 #지리박사 #지리생 #지리정 #개성 #정주 #백주 #염주 #행주 #강음 #토산 #임강 #신은 #마전 #적성 #파평 #창화 #견주 #봉성 #임진 #장단 #교하 #동성 #고봉 #송림 #통진 #덕수 #안주 #동주 #봉주 #수주 #포주 #양주 #수안 #당성 #인주 #김포 #양골 #동음 #황평 #승지 #황선 #도척 #아등갑 #안협 #공암 #구분전 #향직 #대승 #정직 #전정 #향직 좌승 #문하성 #영업전 #이홍숙 #영남지방 #통주 #거란군 #감문위 #해군 #군장 #선군별감 #가전 #휴한지 #개경
-
掾屬掾屬 文宗置. 主事六人, 令史六人, 書令史六人, 注寶三人, 待詔二人, 書藝二人, 試書藝二人, 記官二十人, 書手二十六人, 直省八人【唐․鄕各四人】, 電吏百八十人, 門僕十人. 忠宣王加置, 照磨一人, 令史二十人, 譯史二人, 通事二人, 知印二人, 奏差十人.
-
백관지(百官志)상서성(尙書省)尙書省太祖仍泰封之制, 置廣評省, 摠領百官, 有侍中․侍郞․郞中․員外郞【太祖時, 又有內奉省. 三國史云, ‘內奉省, 卽今都省.’ 沿革與此不同.】成宗元年, 改廣評省, 爲御事都省, 十四年, 改尙書都省. 文宗定尙書令一人, 秩從一品, 左右僕射, 各一人正二品, 知省事一人從二品, …
-
田柴科太祖二十三年 初定役分田, 統合時朝臣軍士, 勿論官階, 視人性行善惡, 功勞大小, 給之有差. 景宗元年十一月 始定職散官各品田柴科, 勿論官品高低, 但以人品定之. 紫衫以上, 作十八品【一品, 田․柴各一百一十結. 二品, 田․柴各一百五結. 三品, 田․柴各一百…#전시과 #역분전 #직관 #산관 #자삼 #전지 #시지 #단삼 #비삼 #녹삼 #전중 #사천 #연수 #상선원 #잡업 #잡리 #안일호장 #직전 #내사령 #시중 #내사시랑평장사 #문하시랑평장사 #치사시중 #참지정사 #검교태사 #6부의 상서들 #어사대부 #좌․우산기상시 #태상경 #치사좌․우복야 #치사태자태보 #전중감 #소부감 #장작감 #개성윤 #상장군 #산좌․우복야 #좌․우승 #시랑 #간의대부 #대장군 #산육상서 #군기소경 #태상소경 #급사중승 #태자빈객 #태자첨사 #산경 #산감 #산시랑 #소경 #소감 #국자사업 #태복감 #산군기감 #산상장군 #태자서자 #낭중 #군기소감 #비서승 #전중승 #내상시 #국자박사 #중낭장 #절충도위 #태의감 #합문사 #선휘원 #선휘판사 #산소경 #산소감 #원외랑 #시어사 #기거랑사 #봉어 #내급사 #낭장 #과의 #태복소감 #태사령 #합문부사 #산낭중 #산대장군 #산합부사 #산태의감 #태자유덕 #태자가령 #태자솔경영 #태자복 #전중시어사 #좌․우보궐 #시의 승 #감의 승 #비서랑 #국자조교 #태학박사 #태의소감 #상약봉어 #통사사인 #태자중윤 #태자중사인 #산원외랑 #산태복소감 #산태사령 #산합문부사 #태상박사 #좌․우습유 #감찰어사 #내알자감 #육위의 장사 #육국의 직장 #군기승 #태자세마 #사관정 #산시승 #산감승 #산태의소감 #산상약봉어 #주서 #녹사 #도사 #내시백 #시주부 #감주부 #사문박사 #태학조교 #중상령 #경시령 #무고령 #대관령 #대창령 #전구령 #공어령 #전객령 #태악령 # #별장 #태복승 #태사승 #시어의 #상약직장 #내전숭반 #대리평사 #합문지후 #산직장 #산중낭장 #산절충도위 #산사관정 #약장랑 #전선랑 #궁문랑 #전설랑 #6위의 녹사들 #정팔품승 #정팔품령 #내알자 #동․서두공봉관 #산원 #지휘사 #협율랑 #태자감승 #산시주부 #산감주부 #산랑장 #산과의 #산내전숭반 #산합문지후 #산태복승 #산태사승 #산시어의 #산상약직장 #종8품승 #종8품령 #사문조교 #교위 #영대랑 #보장정 #설호정 #태의승 #태의박사 #율학박사 #좌․우시금 #좌․우반전직 #산정팔품 #산별장 #산지휘 #산공봉관 #대축 #사름 #사고 #구품승 #구품주사 #구품록사 #비서정자 #제술등과장사랑 #명경등과장사랑 #서학박사 #산학박사 #사진 #사력 #복정 #복박사 #감후 #식의 #의정 #의좌 #율학조교 #전서박사 #판관 #대정 #전전승지 #중추별가 #선휘별가 #은대별가 #산교위 #산좌․우반전직 #산시금 #여러 업의 장사랑 #영사 #서사 #감사 #감작 #서령사 #해서내승지 #객성승지 #합문승지 #차전전승지 #친사 #마군 #산전전승지 #산대정 #산전전부승지 #대상사의 #대상재랑 #국자전학 #지반 #주약 #약동 #군장관 #통인 #청두 #직성 #전구관 #당인 #추장 #감선 #인알 #유외잡직 #보군 #잡색원리 #전시 #군인 #한인 #중서령 #상서령 #문하시중 #문하시랑 #중서시랑 #좌․우복야 #좌․우상시 #7시의 경들 #비서감 #국자좨주 #상서좌․우승 #사천감 #태자소첨사 #장군 #우소첨사 #이부제조시랑 #군기감 #좌우서자 #좌우유덕 #중랑장들 #7시의 소경들 #비서소감 #전중소감 #장작소감 #소부소감 #사천소감 #급사중 #중서사인 #어사중승 #태자솔경령 #낭중들 #합문인진사 #태자좌우찬선대부 #낭장들 #원외랑들 #기거랑 #기거사인 #6국의 봉어들 #전중내급사 #능의 령 #태묘령 #태자약장랑 #7시의 승들 #3감의 승들 #사천승 #6위의 장사들 #내직랑 #궁문감 #별장들 #문하녹사 #중서주서 #6국의 직장들 #첨사부직장 #산원들 #대상 #좌승 #상서도사 #7시의 주부 #3감의 주부 #대악령 #대영령 #내원령 #공역령 #장야령 #여러 능의 승 #태묘승 #사천주부 #동서두공봉관 #교위들 #원보 #정조 #군기주부 #경서승 #중상승 #무고승 #대악승 #대영승 #태창승 #대관승 #전구승 #내원승 #공역승 #장야승 #비서교서랑 #양온승 #사의령 #수궁령 #전오령 #도염령 #잡직령 #도교령 #장생령 #육학박사 #대정들 #원윤 #도염승 #잡직승 #도교승 #장생승 #수궁승 #사의승 #전옥승 #태사사진 #태사사역 #태사감후 #상식식의 #사천박사 #태의의정 #사천복정 #주사들 #어사대녹사 #중추원별가 #문하대조 #문림랑 #장사랑 #도지 #선두 #사인 #영사들 #주사 #중서서예 #비서서예 #사관서예 #태사서예 #의계사 #사천복사 #사천복조교 #부전전승지 #예빈승지 #수의박사 #당직 #전식 #전설 #역보군 #여러 서영사들 #여러 사들 #상승내승지 #부내승지 #태사전사 #주금사 #공선 #주식 #공설 #장설 #당종 #계사 #시계사 #시서예 #감문군 #잡류 #무산계 #관동대장군 #운휘장군 #장무장군 #선위장군 #명위장군 #영원장군 #정원장군 #유기장군 #유격장군 #요무교위 #요무부위 #진위교위 #진위부위 #치과교위 #치과부위 #익휘교위 #익휘부위 #선절교위 #선절부위 #어모교위 #어모부위 #인용교위 #인용부위 #배융교위 #배융부위 #대장 #부장 #잡장인 #어전부악건 #어전부악인 #지리업승인 #별사전 #대덕 #대통 #부통 #지리사 #지리박사 #지리생 #지리정 #개성 #정주 #백주 #염주 #행주 #강음 #토산 #임강 #신은 #마전 #적성 #파평 #창화 #견주 #봉성 #임진 #장단 #교하 #동성 #고봉 #송림 #통진 #덕수 #안주 #동주 #봉주 #수주 #포주 #양주 #수안 #당성 #인주 #김포 #양골 #동음 #황평 #승지 #황선 #도척 #아등갑 #안협 #공암 #구분전 #향직 #대승 #정직 #전정 #향직 좌승 #문하성 #영업전 #이홍숙 #영남지방 #통주 #거란군 #감문위 #해군 #군장 #선군별감 #가전 #휴한지 #개경
-
태조 원년(918) 무인년원년 여름 6월 병진일. 태조가 포정전(布政殿) 포정전 철원(鐵圓)(지금의 강원도 철원군)에 있던 전각의 이름이다.에서 즉위하여 국호를 고려(高麗) 고려 고구려를 부흥하고 계승한다는 의미를 뚜렷이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 국호이다. 궁예도 효공왕 5년(90…
-
태조 원년(918) 무인년元年 夏六月 丙辰 卽位于布政殿, 國號高麗, 改元天授. 丁巳 詔曰, “前主當四郡土崩之時, 剷除寇賊, 漸拓封疆. 未及兼幷海內, 俄以酷暴御衆, 以姦回爲至道, 以威侮爲要術. 徭煩賦重, 人耗土虛. 而猶宮室宏壯, 不遵制度, 勞役不止, 怨讟遂興. 於是, 竊號稱尊, 殺妻戮子…
-
掾屬문종때 두었다. 두었다 백관지에는 연속(掾屬)들이 문종조에 처음 설치된 듯 기술되어 있으나 이는 잘못된 설명이다. 이(吏)의 존재는 이미 태조 때부터 보이고 있으며, 또 경종 원년(976)의 전시과에도 ‘雜吏’에 대한 토지의 지급 규정이 실려 있다. 그러므로 …
-
尙書省태조는 태봉(泰封)의 제도를 답습해 광평성(廣評省)을 설치하고 백관을 모두 통솔하게 했는데, 여기에는 시중(侍中)․시랑(侍郞)․낭중(郎中)․원외랑(員外郞)이 있었다. 있었다 광평성은 태봉 최고의 관부였는데, 왕위에 오른 고려 태조 왕건은 그 체제를 그대로 두고…
-
田柴科태조 23년(940). 처음으로 역분전(役分田) 역분전 태조 23년(940)에 후삼국통일과 고려개국에 공로가 있는 조신과 군사들에게 선악과 공로의 대소에 따라 지급한 토지를 말한다. 그 성격에 대해서는 수조권(收租權) 분급제인 전시과(田柴科)의 전신으로 파악하…
-
掾屬掾屬 文宗置. 主事六人, 令史六人, 書令史六人, 注寶三人, 待詔二人, 書藝二人, 試書藝二人, 記官二十人, 書手二十六人, 直省八人【唐․鄕各四人】, 電吏百八十人, 門僕十人. 忠宣王加置, 照磨一人, 令史二十人, 譯史二人, 通事二人, 知印二人, 奏差十人.
-
尙書省太祖仍泰封之制, 置廣評省, 摠領百官, 有侍中․侍郞․郞中․員外郞【太祖時, 又有內奉省. 三國史云, ‘內奉省, 卽今都省.’ 沿革與此不同.】成宗元年, 改廣評省, 爲御事都省, 十四年, 改尙書都省. 文宗定尙書令一人, 秩從一品, 左右僕射, 各一人正二品, 知省事一人從二品, …
-
田柴科太祖二十三年 初定役分田, 統合時朝臣軍士, 勿論官階, 視人性行善惡, 功勞大小, 給之有差. 景宗元年十一月 始定職散官各品田柴科, 勿論官品高低, 但以人品定之. 紫衫以上, 作十八品【一品, 田․柴各一百一十結. 二品, 田․柴各一百五結. 三品, 田․柴各一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