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병조의 건의에 의해 경상도 가망포의 배를 안골포로 옮기고 만호로 개칭하다.
병조에서 아뢰기를,
“경상도 가망포(加望浦)의 배를 청컨대 안골포(安骨浦)에 옮기고, 그 만호도 안골포만호(安骨浦萬戶)로 개칭하게 하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
-
경상도 병마절도사 왕종신과 수군절도사 이인충이 요청한 덕도의 개간을 허락하다.
경상도 병마절도사 왕종신(王宗信)과 수군절도사 이인충(李仁忠)에게 하서하기를,
“이제 경의 계문으로 인하여 덕도(德島)는 삼면에 육수로 둘러싸여서 동쪽에는 다대포(多大浦)가 있고, 서쪽에는 안골포(安骨浦)가 있으나 절도의 비할 바가 아니고, 또 땅이 실…
-
사도순찰사 홍응이 여러 도 내 여러 포의 보에 대해 서계를 올리다.
사도순찰사 홍응(洪應)이 서계하기를,
“제도의 제포(諸浦)의 보를 설치한 곳 가운데에서 전라도 장흥(長興) 회령포(會寧浦)의 보를 설치한 곳은 좌지(坐地)가 남향인데, 포백척(布帛尺)시축(尸祝)신주(神主)와 제문(祭文).으로 재면 둘레가 1,990척이고…
-
조숙기가 성곽의 수 ․ 개축에 대해 상서하니 영돈녕 이상에게 의논하도록 명하다.
강릉대도호부사 조숙기(曹淑沂)가 떠날 때에 임하여 상서하기를,
“≪주역≫에 이르기를, ‘왕공(王公)이 험한 것을 설치하여 그 나라를 지킨다.’ 하였고, ≪춘추전(春秋傳)≫에 이르기를, ‘거성(莒城)이 악하여 12일도 못되는 사이에 초나라가 삼도(三都)를…
-
왜노가 노략질한 물건을 가덕도에 옮겨 두다.
영의정 김수동(金壽童)·우의정 성희안(成希顔)이 아뢰기를,
“제주 방어소(防禦所)가 본래 7개 처로 지금 권관(權管)통훈(通訓)통훈대부(通訓大夫). 문관 정3품의 하(下)계. 당하관(堂下官)이 오를 수 있는 가장 높은 자리였다. 기술관이나 서얼 출신의 …
-
유순정이 거제 ․ 고성 등 왜적의 피해를 입은 곳을 방어할 방책을 아뢰니 따르다.
도원수 유순정(柳順汀)이 장계하기를,
“우도 거제 땅의 영등포(永登浦)·옥포(玉浦)·지세포(知世浦)·조라포(助羅浦)와 고성(固城) 땅의 당포(唐浦)와 웅천 땅의 안골포(安骨浦) 등처는 모두 방어의 가장 긴요한 땅인데, 성을 모두 부서진 돌로 쌓아서 여러…
-
왜선이 안골포의 성을 공격하여 그들과 접전했음을 알리는 유담년의 치계.
경상우도병사 유담년(柳聃年)이 치계하기를,
“6월 24일에 왜선 3척이 가덕도(加德島)로부터 제포에 들어와서 제포 항거왜인의 두목 피고시라(皮古時羅)라 자칭하고 ‘우호를 청하기 위해 나왔다.’ 하기에, 통사를 시켜 전일에 하유하신 말로 대답하였더니, 그…
-
유담년이 안골포의 소식을 전해오니 대신에게 방비할 계책을 진달하게 하다.
경상우도 병사 유담년이 치계하기를,
“이달 27일에 왜적이 안골포를 범하여 성을 포위하고 떠들어대므로, 군관 오순간(吳順間)·하준(河浚)이 화포장 등을 거느리고 길을 나누어 복병하여 사변에 대비하다가, 하준이 적이 성중 사람들과 싸우며 떠들어대는 소리를…
-
유담년이 경상도와 전라도의 배가 힘을 합쳐 적을 방어할 것을 아뢰다.
이날 유담년이 또 치계하기를,
“전일에 왜적이 안골포를 포위하고 적이 성중 사람과 접전하다가 적 한 사람이 화살에 맞아 물에 빠져 죽었는데 머리를 베어 올려 보냅니다. 적의 형세를 보건대, 본도로부터 나오면 반드시 먼저 가덕도에 정박하여 오래 지체하며 …
-
안골포에서 적의 기세를 꺾었으므로 글을 내려 포장하다.
상이, 안골포의 형세가 외롭고 위태하여 두 번 적의 포위를 당하였는데 병사 유담년이 구원병을 보내 앞뒤로 공격하여 참획이 자못 많아 적의 예봉을 꺾었으므로, 글을 내려 포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