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국과 야인의 사신 등을 접견하다.
사정전(思政殿)에 나아가 잔치를 베푸니, 효령대군 이보(李補)·하동군 정인지(鄭麟趾)·봉원군 정창손(鄭昌孫)·고령군 신숙주(申叔舟)·상당군 한명회(韓明澮)·능성군 구치관(具致寬)·연성군 박원형(朴元亨)·중추부영사 심회(沈澮)·영성군 최항(崔恒)·영의정 조석문(…
-
일본국 사신 융원에게 수타미를 주다.
임금이 왜통사 전양민(田養民)을 불러 말하기를,
"융원(融圓)이 수타미(須陁味)를 가지고 본국에 돌아가려 하는데, 내가 날이 따뜻하여 쉽게 사그라질까 염려한 까닭으로 윤허하지 않았으나, 이제 다시 생각하니, 만약 그늘진 곳에 말리면 쉽게 가지고 갈 것이…
-
예조에서 선위관 전양민의 사행이 통과하는 곳에 선물을 보낼 것을 청하다.
예조에서 아뢰기를,
“이번 선위관(宣慰官) 전양민(田養民)의 사행이 통과하는 일기주(一岐州) 지좌(志佐) 원의(源義), 일기주 수호대관(守護代官) 원무(源武), 압타(鴨打) 원영(源永), 호자(呼子) 원의(源義), 염진류(鹽津留) …
-
대마주선위관 사역원첨정 전양민이 하직하다.
대마주선위관(對馬州宣慰官) 사역원첨정(司譯院僉正) 전양민(田養民)이 하직하였다. 그가 가지고 가는 글에 이르기를,
“예조참의 김영유(金永濡)는 글을 대마주태수 종공족하(宗公足下)에게 드립니다. 귀도는 우리나라와 대단히 가깝고 통호한 지 이미 오래되어 한…
-
예조에서 왜의 사인은 정관 이외에는 양식만을 지급할 것을 아뢰다.
예조에서 경상도관찰사의 관문에 의거하여 아뢰기를,
“지난 경인년에 선위관(宣慰官) 전양민(田養民)이 종정국(宗貞國)에게 가지고 가서 통유한 사목 가운데, ‘구례에 관제 등 대신들의 사인이 포구에 도착하면 부근에 있는 여러 고을로 하…
-
예조에서 왜의 사객에게 지급하는 양식을 구례대로 엄격히 할 것을 청하다.
예조에서 아뢰기를,
“경인년에 대마주선위관(對馬州宣慰官) 전양민(田養民)이 통유(通諭)하는 사목을 가지고 갔는데, 그 절해에, ‘구례에는 모든 사선이 포구에 도착하면, 배의 대소를 자[尺]로 재고, 사람의 다소를 헤아리고 점검하여서…
-
예조에서 왜의 사신을 대접하는 것에 대해 아뢰다.
예조에서 아뢰기를,
“경인년에 대마주선위관(對馬州宣慰官) 전양민(田養民)이 가지고 가서 종정국(宗貞國)에게 유시한 사목 안에, ‘제주(諸州)의 사선이 포구에 도착한 뒤에, 사자가 상경하여 혹 연고를 빙자하고 즉시 발정하지 않는다든가…
-
예조에서 일본에 사신을 보내는 문제에 관해 성춘이 했던 말을 아뢰다.
예조에서 아뢰기를,
“일본국 사신 성춘(性春)이 통사 전양민(田養民)을 불러서 말하기를, ‘지난번에 임금께서 본국의 일을 친히 물으셨는데, 그 뜻이 장차 사신을 보내기 때문인가?’ 하므로, 전양민은 말하기를, ‘예조에서 사신을 보낼…
-
예조에서 일본 사신의 요청을 아뢰다.
예조에서 서계하기를,
“어제 본조에서 일본국사 성춘(性春)을 위한 전별연(餞別宴)을 베풀었더니, 성춘이 말하기를, ‘우리들이 온 일을 위해서는 어떻게 결정하셨습니까?’ 하므로, 겸판서(兼判書) 윤자운(尹子雲)이 대답하기를, ‘저번에…
-
중국에 조회하고자 하는 일본 사신의 요청을 거절하기로 하다.
예조에서 아뢰기를,
“성춘(性春)이 오늘 마땅히 배사(拜辭)해야 할 것이거늘, 통사 전양민(田養民)에게 말하기를, ‘내가 명을 받고 온 일을 받지 못했으니, 배사(拜辭)를 어떻게 하겠습니까?’ 하고, 드디어 예궐하지 않았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