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내전 덕웅 ․ 종정무 처자 ․ 좌위문 대랑 등에게 선물을 회례사 편에 보내 주다.
대내전(大內殿) 덕웅(德雄)에게 표피 1장, 호피 2장, 면주 5필, 저포 5필, 채화석(彩花席) 10장을 주고, 종정무(宗貞茂) 처자에게 조미 50석, 면주 10필을 주었으며, 좌위문대랑(左衛門大郞)에게 소주 30병, 저포 5필 등을 회례사의 가는 편에 부쳐…
-
일본국 회례사 박안신과 이예를 내전에 불러 접견하다.
일본국 회례사 상호군 박안신(朴安臣)과 부사 대호군 이예(李藝)가 복명하였는데, 임금이 내전에 불러 들여 접견하였다. 안신이 계하기를,
“신 등이 처음에 적간관(赤間關)에 이르자 규주(圭籌)가 국서를 등사하여 급히 어소(御所)에 보고하였는데, 55일이나…
-
소이전, 구주절도사, 대마도 종언칠 ․ 언육의 가족 등에게 양곡 ․ 과일 등을 내리다.
소이전, 구주절도사, 대마도 종언칠(宗彦七)․언육(彦六)의 어머니와 그 할머니와 좌위문대랑 등에게 내리는 술과 과일과 양곡을 이번에 돌아가는 삼미삼보라(三未三甫羅)에게 부쳐 보내도록 명하였으니, 대호군 이예(李藝)가 계한 바에 의한 것이었다.
-
병조에서 일본에 대한 방어를 엄중히 할 것을 건의하다.
병조에서 계하기를,
“대마도의 도만호 좌위문대랑이 사신으로 보낸 상관인 중 소긴(蘇緊)이 말하기를, ‘일본의 대내전(大內殿)이 소이전(小二殿)과 서로 싸웠는데, 종언륙(宗彦六)은 원래 소이전의 관하로서 군사를 거느리고 들어와서 구원했습니다…
-
일본의 대내전과 소이전에 물건을 보내게 하다.
예조에서 일본통신사 박서생(朴瑞生)의 수본에 의하여 계하기를,
“대내전(大內殿)은 그 선대로부터 성심으로 우리나라를 섬겨 왜적의 무리들을 금제하였고, 무자년에 통신부사(通信副使) 이예(李藝)가 해상에서 바람을 만나 석견주(石見州)에 표류하여 죽을 지경에…
-
소이전의 사객에게 예물을 함께 보낼 것을 논의하다.
예조에서 계하기를,
“소이전(小二殿)의 사객(使客)이 돌아가겠다고 고해 왔사옵니다.”
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통신사(通信使)가 가는 길에 마땅히 예물을 소이전에게 내려 줄 것이다.”
하였다. 예조판서…
-
예조에서 각 포구의 병선과 군기를 점검할 것을 건의하다.
예조에서 아뢰기를,
“대호군 이예(李藝)의 말에 ‘일본의 대내전(大內殿)이 일찍이 소이전(小二殿)과 싸워서 소이전의 축전주(筑前州) 땅을 빼앗으니, 어소(御所)에서도 이에 그 땅을 주고 또 글을 내려 주어 이르기를,「일기주가 만약 서로 싸…
-
태재소이 등이 예조에 글을 보내 미곡과 저포 등을 내려줄 것을 간청하다.
태재소이(太宰小二)와 소법사와(小法師瓦)가 예조에 글을 보내기를,
“지난해 겨울부터 대마주에 와서 우거하고 있사오니 보호 구제해 주시기를 원하오며, 또 경도(京都)에 예물을 보내고자 하오니, 비옵건대, 면주 혹은 저포 1천 필과 미곡을 하사해 주소서.”…
-
종정징이 구제를 원하니 쌀과 콩을 내리다.
예조에서 아뢰기를,
“종정징(宗貞澄)이 표아구라(表阿仇羅)를 보내어 말하기를, ‘본도는 항상 성은을 입고 사는데, 지금 소이전(小二殿)의 아들이 본도에 이르러 적은 미곡을 다 허비하였으니, 구제하여 살려 주시옵기 원하옵니다.’ 하오니, 전…
-
등차랑이 구주의 전쟁에 관해 글을 올리다.
등차랑(藤次郞)이 예조에 글을 보내기를,
“지금 구주에서 전쟁이 일어나 대내전(大內殿)은 군사 7백 30명을 거느리고 파란다현(波蘭多縣)에 주둔하고, 소이전(小二殿)의 아들도 군사를 거느리고 초야전(草野殿) ․ 좌지전(左志殿)·압타전(鴨打殿) ․ 단주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