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마주태수 종성직이 보낸 배가 제포에 이르다.
처음에 일본국 대마주태수(對馬州太守) 종성직(宗成職)이 보낸 삼보라도로(三甫羅都老)·우계사야문(于桂沙也文) 등이 탄 배 12척이 제포(薺浦)에 이르렀다.
변장(邊將)이 말하기를,
“전에 약정(約定)한 50척이 이미 다 나왔으…
-
첨지중추원사 원효연을 대마주경차관으로 삼다.
첨지중추원사 원효연(元孝然)을 대마주경차관(對馬州敬差官)으로 삼았는데, 그 싸 가지고 간 예물은 백세면주 10필, 백세면포 10필, 백세저포 5필, 흑세마포 5필, 조미 1백 석, 황두(黃豆) 50석, 소주 30병, 청주 1백 병, 밀과 2궤, 다식(茶食) 2…
-
대마도 경차관 원효연이 대마도의 일을 치계하다.
대마도 경차관 첨지중추원사 원효연(元孝然)이 보고 들은 사건을 치계 하였다.
“1. 정월 29일 묘시에 배를 출발하여 유시에 대마도에 이르러 시심포(始深浦)에 정박하였는데, 2월 초2일에 도주 종성직(宗成職)이 후루가와(侯樓加臥)를 시켜 와서 말하기를,…
-
대마도경차관 원효연이 복명하다.
대마도경차관(對馬島敬差官) 원효연(元孝然)이 와서 복명하였다.
-
통사 박유생 ․ 악공 상낙산 등 대마도를 왕래한 공로로 가자하다.
이조에 전지하기를,
“통사 박유생(朴㽕生)과 손계종(孫繼宗), 악공(樂工) 상낙산(尙洛山) · 김강(金剛) · 권미(權美) · 고석생(高石生)은 대마도경차관(對馬島敬差官) 원효연(元孝然)을 따라 왕래한 공로가 있으니, 아울러 가자하…
-
경상도 ․ 전라도 ․ 충청도 등의 관찰사 등에게 잔치를 내리다.
경상도관찰사 원효연(元孝然)·좌도 도절제사 하한(河漢)·처치사 유강(柳江)·우도 도절제사 한서룡(韓瑞龍)·처치사 이사평(李士平)과 전라도관찰사 이석형(李石亨)·도절제사 이화(李樺)·처치사 이행검(李行儉)과 충청도관찰사 정척(鄭陟)·절제사 이종효(李宗孝)·처치사…
-
근정전에서 연회를 베푸니, 야인 ․ 왜인 등이 입시하다.
근정전(勤政殿)에 나아가서 연회를 베푸니, 효령대군 이보·임영대군 이구·익녕군 이치·계양군 이증·의창군 이공·밀성군 이침·익현군 이관·영해군 이당·의성군 이심·순성군 이애·운성부원군 박종우·화천군 권공·오산군 이주·함양경 이포·보성윤 이합·낙안윤 이몽·영천윤 …
-
효령대군 이보가 원각경 수교를 마쳐 잔치를 베풀다.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가 일찍이 원각경(圓覺經)을 수교하였는데, 이에 이르러 일을 마치었다. 임금이 사정전(思政殿)에 나아가 잔치를 베풀어 위로하니, 왕세자와 이보(李補)·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 영응대군(永膺大君) 이염(李琰)·영순군(永順君…
-
예조판서 원효연의 졸기.
예조판서 원효연(元孝然)이 졸하였으니, 자는 자순(子順)이고, 원주사람이다. 임자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번 관직이 승진되어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에 이르고, 의정부의 검상(檢詳)과 사인을 역임하고 관계를 뛰어올라 좌사간대부(左司諫大夫)에 제수되었다가 조금 …
-
강형 ․ 남세담 등과 대마도에 조관을 보내는 일에 대해 논쟁하다.
경연에 나아갔다. 강하기를 마치자, 지평 강형(姜詗)이 아뢰기를, ……
강형이 아뢰기를,
“옛날 왜인이 우리 백성을 죽였는데 그 때 장차 고태필(高台弼)을 보내어 유시하려고 하였으나 적국이 아니기 때문에 다만 서계로 통지하였을 뿐입니다. 지금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