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병조판서 이덕형이 중국군의 동태와 김덕령에게 일면의 방어를 맡길 것 등을 아뢰다.
병조판서 이덕형(李德馨)이 아뢰기를,
“신이 어제 저녁에 소응충(邵應忠)을 만나보고 ‘오(吳)·낙(駱) 두 장수가 무슨 이유로 돌아갔으며 유총야(劉總爺)가 돌아가도록 허락한 것인가?’ 고 물었더니【오유충(吳惟忠)·낙상지(駱尙志)이고 유총야는 유정(劉綎)…
-
중국군이 다시 온다는 것과 군량을 위해 곡식을 바치라는 내용의 방문을 붙이게 하다.
전교하기를,
“군대는 권술을 귀히 여기는 것이니 우리의 형세가 약할 경우에는 허세라도 지어 적에게 보여야 한다. 이제 왜적과 대치하여 있는 마당에 중국군이 철병하여 인심이 믿을 데를 잃고 있는데, 이곳의 소식을 흉적도 모두 알고 있…
-
병조판서 이덕형이 오유격이 중국에 돌아가 다시 군사를 파견할 것을 주선하겠다고 했다고 하다.
병조판서 이덕형(李德馨)이【접대도감의 당상이었다.】아뢰기를,
“신이 오유격(吳遊擊)을 만나 대좌한 자리에서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그가 진지한 자세로 세세한 곡절을 다 털어놓았습니다. 또 그가 지어서 각 아문에 보내었던 품첩 1책을 내어보였는데 전후 모두가…
-
중국측에 왜적이 아직 철병하지 않은 상황을 자세히 알리게 하다.
정원에 전교하였다.
“이제 유총병(劉總兵)의 말을 보건대, 우리나라의 배신이 왜적이 물러갔다고 말했기 때문에 중국 조정에서 철병하는 것이라고 하니, 매우 마음 아픈 일이다. 어렵게 중국군의 구원을 빌어 겨우 적을 토벌하게 되어서 우…
-
왜가 중국에 봉함과 공물 바치는 것을 원하는 것이 사실이 아님을 중국에 알리게 하다.
전교하기를,
“왜노가 중국에 조근하지 않은 지 오래일 뿐만 아니라 스스로 정삭을 만들고 참람하게 연호를 고쳐 일출국황제(日出國皇帝)니 일락국황제(日落國皇帝)라고 칭하였다. 지난해 평양에서 심유경(沈惟敬)을 대할 때에도 동황제(東皇帝…
-
접대도감에서 중국과 왜의 강화 교섭에 대해 보고하다.
접대도감이 아뢰기를,
“신 이덕형(李德馨)이 척총병(戚總兵)을 만나보니 총병이 문서 한 통을 내놓았는데 석상서(石尙書)·송경략(宋經略)과 왕복한 문서였습니다. 대강의 요점은 송응창(宋應昌)이 척총병에게 전적으로 위임하여 강화하는 모…
-
대신과 비변사 당상 등을 인견하여 군량 마련 ․ 납속한 자에 대한 시상 등을 논의하다.
상이 편전에 나아가 대신과 비변사 당상·삼사를 인견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여러 신하들은 각각 말하고자 하는 바를 말하라.”
하니, 심충겸(沈忠謙)이 아뢰기를,
“양향을 조처하는 일은 힘을 다하…
-
접반사 김찬이 왜적의 동향 및 중국과 왜의 강화 교섭 과정을 보고하다.
접반사 김찬(金瓚)이 치계하였다.
“정월 25일에 총병이 통사 이희인(李希仁)·유의빈(柳依擯)을 부르더니 좌우에 있는 사람을 물리치고 나서 비밀리에 말하기를, ‘담종인(譚宗仁)은 왜적의 진영에 억류되어 있고, 심유격(沈遊擊)이 근일 표문을 가지고 왔는데…
-
유성룡이 중국 장수 척총병과 중국군의 철병 문제 등을 논의하다.
영의정 유성룡(柳成龍)이 아뢰었다.
“신이 어제 저녁에 척총병(戚總兵)을 찾아가서 역관을 물리치고 글로 서로 문답하였는데 요즘의 사정을 모두 남김없이 털어놓고 논했습니다. 심지어는 자신이 그 책임을 지겠다면서 ‘왜노가 이미 내 눈 안에 들어와 있다. 큰…
-
대신을 인견하여 광녕순무의 자문 ․ 왜의 항표의 진위와 공 ․ 사천을 병사에 충당하는 것 등을 논의하다.
초경에 상이 행궁 편전에 나아가 대신을 인견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광녕(廣寧)의 이 자문은 어떠한가?”
하니, 유성룡(柳成龍)이 아뢰기를,
“이것은 사천사(司天使)를 모해한 것일 뿐 아니라 우리나라를 모해한 것입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