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좌의정으로 치사한 유정현의 졸기.
좌의정으로 치사한 유정현(柳廷顯)이 졸하였다. 정현은 문화현(文化縣) 사람이었다. 고려 때의 중찬(中贊) 유경(柳璥)의 사세손(四世孫)이고, 문화군(文化君) 유구(柳丘)의 아들이었다. ……
기해년 대마도정벌 때에는 삼군도통사가 되고, 갑진년에는 영돈녕부…
-
예조에서 각 포구의 병선과 군기를 점검할 것을 건의하다.
예조에서 아뢰기를,
“대호군 이예(李藝)의 말에 ‘일본의 대내전(大內殿)이 일찍이 소이전(小二殿)과 싸워서 소이전의 축전주(筑前州) 땅을 빼앗으니, 어소(御所)에서도 이에 그 땅을 주고 또 글을 내려 주어 이르기를,「일기주가 만약 서로 싸…
-
선위사를 보내 유구국 사신을 데려오게 하다.
예조에서 아뢰기를,
“유구국 중산왕(中山王)이 보낸 사람을 청하건대, 일본국왕의 사신의 예에 의거하여 그 도의 역승으로 하여금 데리고 오도록 하소서.”
하니, 지신사 안숭선이 아뢰기를,
“유구는 일본과 같지 않으니 특별히 관…
-
경복궁에서 망궐례를 행하고 유구국 사신의 자문을 받다.
경복궁에 거둥하여 왕세자와 많은 신하들을 거느리고 동지를 하례하는 망궐례를 거행하고, 근정전에 나아가서 왕세자와 많은 신하들의 하례를 받았다. 유구 국왕의 사신 하례구(夏禮久)와 부사 의보결제(宜普結制)와 선주 등이 서반 3품의 반열에 서서 배례를 마치매, 사…
-
승정원에서 일본 ․ 유구 ․ 안남 ․ 남만의 일을 논하다.
“…… ≪춘추(春秋)≫의 대경대법(大經大法)이 진실로 주의(誅意)로써 우선을 삼았으니, 성인의 경계가 엄했던 것입니다. 황효원(黃孝源)은 제가 고상하게 되고 싶으면 비록 이름을 속이고 행동을 위장할지라도 이 군주는 족히 섬길 것이 못되며, 이 봉록은 족히 먹을…
-
예조에서 유구국에서 조선인 두 명을 송환시켜준 사실 등을 아뢰다.
유구국 중산왕(中山王)의 사자 도안(道安)을 예조에서 연회하였다. 예조에서 도안의 말을 기록하여서 아뢰기를,
1. 지난 경오년에 귀국 사람 4명이 표류하다가 와사도(臥蛇島)에 정박하였는데, 그 섬은 유구도(琉球島)와 살마(薩摩)의 사이에 있어서 반은 유…
-
일본의 중 도안이 일본과 유구 두 나라 지도의 모사한 그림을 가져옴을 아뢰다.
예조에서 아뢰기를,
“일본의 중 도안(道安)이 일본과 유구 두 나라 지도의 모화(摸畵) 4벌을 가져왔는데, 장배(粧褙)하여 족자를 만들어 1벌은 궐내에 들이고, 그 나머지는 의정부와 춘추관(春秋館) 및 본조에 나누어 보관하게 하소서…
-
유구국왕사 왜승 도안 등이 와서 토물을 바치다.
유구국왕의 사자인 왜승(倭僧) 도안(道安) 등 15인이 와서 토물을 바쳤다. 처음에 제주(濟州) 사람 한금광(韓金光)·김신석을이(金新石乙伊)·승동(升同)·양성(陽城)과 사노 복산(卜山)·오지(吾之)·득산(得山)·복세(卜世)와 양녀 지내(之內)와 사비 양장(陽莊…
-
유구사자의 뇌물을 받고 부관인을 사칭한 왜통사 김자강과 향통사 정안직 등을 처벌하다.
의금부에서 아뢰기를,
“왜통사(倭通事) 김자강(金自江)은 유구(琉球)의 사자가 주는 동철을 받고는 대마도 왜인 돈사야문(頓沙也文)의 아들이라 속이고 부관인 이라 칭하여 압래하였으며, 또 서울에 도착한 뒤에는 몰래 향통사(鄕通事) 정…
-
일본국 대마도주 등이 토물을 바치고 관처진수 진성행의 서계를 올리다.
일본국의 대마도주 종성직(宗成職)이 피고여문(皮古汝文) 등을 보내어 와서 토물을 바쳤으며, 일기주(一岐州)의 왜사정(倭司正) 등야삼보라(藤也三甫羅) 등도 또한 와서 토물을 바쳤다. 피고여문이 관처진수(關處鎭守) 진성행(秦盛幸)의 회답하는 서계를 올렸는데, 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