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MKSDB / DB / 한일관계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Historical Materials

Article 19,598 Korean Studies Content 453 View with Viewer
Sort
By most recent record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5년 (1426)
    원의준 ․ 평만경이 예조에 대장석전의 하사에 감사하는 서신과 예물을 보내다.
    원의준․평만경 등이 사람을 보내어 토의를 바치었다. 원의준이 예조에 서신을 보냈는데, 그 서신에, “우리 국왕이 청구한 대장석전(大藏釋典)을 보내 주심을 보니 은혜롭습니다. 〈대장석전〉을 실은 배가 대마도에서 바로 장문주(長門州)의 적간관(赤間關)에 이…
    #원의준 #평만경 #대장석전 #대마도 #장문주 #적간관 #박성 #냉천진 #서울 #신상 #회례사 #안호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6년 (1424)
    일본국 회례사 박안신과 이예를 내전에 불러 접견하다.
    일본국 회례사 상호군 박안신(朴安臣)과 부사 대호군 이예(李藝)가 복명하였는데, 임금이 내전에 불러 들여 접견하였다. 안신이 계하기를, “신 등이 처음에 적간관(赤間關)에 이르자 규주(圭籌)가 국서를 등사하여 급히 어소(御所)에 보고하였는데, 55일이나…
    #일본국 #회례사 #이예 #적간관 #규주 #경장주 #대내전 #최고음동 #회례선 #삼주태수 #백송전 #경도 #아시포 #심수암 #장경 #상국사 #등지사 #녹원원 #녹원주악 #서당중윤 #범령 #태조 #송 #통신 #주악 #구주 #원의준 #도서 #일기주 #도구라 #지좌전 #서토리 #우라우미 #대마도 #전라도 #좌위문대랑 #박다 #종정무 #내이포 #부산포 #과해량 #소이전 #종정성 #일본국왕 #도전 #조선국왕 #대장경판 #교린 #중윤서당 #주장풍전삼주도독 #다다량덕웅 #관서도도원수 #축전태재 #대마주수 #박안신 #일기도 #수호대관 #일본 #경판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11년 (1429)
    일본국 풍주태수가 예조에서 서신을 보내오고 토물을 바치다.
    일본국 풍주태수(豊州太守) 원지직(源持直)이 예조에 서신을 보내어 말하기를, “예라는 것은 공경하는 마음의 표현이며, 의라는 것은 믿음의 징증인 것입니다. 우리는 귀국 조정에 대하여 비록 경과 신은 있으나 예의는 통하지 못하였습니다. 지금 석성(石城) …
    #일본국 #풍주태수 #원지직 #석성 #냉천진 #중국 #합도 #적간관 #대반야경 #반야경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11년 (1429)
    박서생이 시행할만한 일들을 갖추어 아뢰다.
    통신사 박서생(朴瑞生)이 시행할 만한 일들을 갖추어 아뢰기를, “1. 신이 일본에 이르러 대마도(對馬島)로부터 병고(兵庫)에 이르기까지 적들의 수효와 왕래하는 길을 살펴보오니, 대마도와 일기주 사이의 내외의 큰 섬들과 지하(志賀) ․ 평호(平戶) 등의 …
    #통신사 #박서생 #일본 #대마도 #병고 #일기주 #지하 #평호 #적간관 #사주 #조호 #사도 #종정성 #대내전 #종상전 #풍후주 #대우전 #일기 #지좌 #좌지전 #평호자 #교린 #김신 #관량 #한강 #임진강 #왜관한증 #해적 #박대 #망고라 #유구국 #피로 #등차랑 #이생 #강남 #남만 #왜적 #일기도 #회례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12년 (1430)
    예조에서 각 포구의 병선과 군기를 점검할 것을 건의하다.
    예조에서 아뢰기를, “대호군 이예(李藝)의 말에 ‘일본의 대내전(大內殿)이 일찍이 소이전(小二殿)과 싸워서 소이전의 축전주(筑前州) 땅을 빼앗으니, 어소(御所)에서도 이에 그 땅을 주고 또 글을 내려 주어 이르기를,「일기주가 만약 서로 싸…
    #이예 #일본 #대내전 #소이전 #축전주 #일기주 #좌지전 #대마도 #종정성 #구주 #적간관 #사주 #왜선 #강남 #유구 #남만 #비거도선 #왜적 #검선 #경상좌우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15년 (1433)
    예조참의 윤수가 대마주태수 종정성에게 회례사의 배를 분발하여 호송할 것을 치서하다.
    예조참의 윤수(尹粹)가 대마주태수(對馬州太守) 종정성(宗貞盛)에게 치서하기를, “이제 듣건대, ‘회례사(回禮使) 이예(李藝) 등이 돌아오는 배가 바다에서 도둑에게 약탈을 당하여, 가진 물건을 모두 빼앗기고 겨우 목숨만 보전하여 적간관(赤間關)에 머물러 …
    #윤수 #대마주태수 #종정성 #회례사 #이예 #적간관 #피상의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15년 (1433)
    일본 회례부사 김구경이 해적선에 관해 상언하다.
    일본 회례부사(回禮副使) 김구경(金久冏)이 대마도에 돌아와서 육랑차랑(六郞次郞)의 사송 편에 상언하기를, “일본 서울에 이르러 일을 다 마치고 돌아오다가, 4월 13일에 배가 바다 가운데 좌초하여 창졸간 위급한 때에, 홀연히 해적선 35척이 나타나 일본…
    #일본 #회례부사 #김구경 #대마도 #육랑차랑 #서울 #일본국 #대내전 #적간관 #김원 #이예 #방구성 #압물관 #반종인 #대내 #대우 #소이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15년 (1433)
    회례사 이예가 일본에 갔다 돌아와 보고하다.
    회례사(回禮使) 이예(李藝)가 일본에서 돌아와서 아뢰기를, “해적(海賊)을 만난 뒤에 빼앗긴 물건을 자세히 기록하여 통사(通事) 김원(金元)을 시켜서 돌아가 일본국왕(日本國王)에게 사뢰게 하였더니, 국왕이 매우 성내어 모든 섬의 대관(大官)에게 수색하여…
    #회례사 #이예 #일본 #해적 #김원 #일본국왕 #대내전 #적간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25년 (1443)
    통신사 변효문이 돌아와 일본에서의 일을 치계하다.
    일본국(日本國)에 갔던 통신사 변효문(卞孝文)이 돌아와 경상도 옥포(玉浦)에 이르러 치계하기를, “신 등이 처음에 대마도(對馬島)에 이르니, 종정성(宗貞盛)이 하사한 물건을 받고 사배(四拜)를 행하여 사의를 표시하였고, 인하여 사람을 보내어 향도(鄕道)…
    #일본국 #변효문 #경상도 #옥포 #대마도 #종정성 #대내교홍 #적기포 #대내전 #병고 #윤인시 #이세 #대내 #태화수 #적간관 #좌무위 #상국사 #회례사 #청경사 #광엄 #우춘 #이요 #산구 #덕모 #경유 #일기도 #제주 #지좌 #박다 #일기 #모도포 #호자압타 #윤인보 #신숙주 #이예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명종실록
    명종 11년 (1556)
    예조에서 왜인 조구와 문답한 내용을 아뢰다.
    예조가 왜인 조구(調久)【대마도주(對馬島主)가 적변을 알리려고 보낸 자이다.】와 문답한 내용【*】을 아뢰니, 전교하기를, “알았다. 조구가 빨리 돌아가려고 하니 그가 원하는 일을 대신들과 해조가 함께 의논하여 아뢰라.” 하였다. 예조가 아뢰기를,…
    #조구 #대마도주 #심연원 #윤개 #윤원형 #상진 #사주 #오행산 #박다주 #적간관 #살마주 #중국 #오봉 #적왜 #평호도 #일본 #아파 #이예 #찬기 #토사 #대마도 #제포 #왜구 #조선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Next PageLast Page총 16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