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정성에게 모든 섬의 왜인들의 이름을 기록하여 보내게 하다.
의정부에서 예조의 첩정에 의하여 아뢰기를,
“종정성(宗貞盛)이 보내 온 정태랑병위(井太郞兵衛)의 말에 의하오면, ‘내이포(內而浦)에 거류하고 있는 왜인들이 본도의 왜인과 은밀히 상통해 밀약하고는 야간에 작은 배를 타고 미리 바다 가운데...
-
석강에 ≪강목≫을 강하고 북변과 왜적의 대비에 대해 의논하다.
석강에 있어 ≪강목≫의 ‘동시월(冬始月)’부터 ‘종회(鍾會)를 사도로 삼았다.’ 는 대목까지 진강하였다. 임문하여 상이 변협(邊恊)에게 이르기를,
“병가에서 주객의 형세가 같지 않다고 하는데, 촉한(蜀漢)으로써 본다면 같지 않은 점이 어디에 있는가?...
-
윤근수가 의주에서 오자 중국의 강화와 송경략의 학문에 대해 논의하다.
예조판서 윤근수(尹根壽)가 의주에서 왔다. 상이 인견하고 이르기를,
“저들이 강화하려 하니 내 마음이 매우 안타깝다. 직접 가서 하소연하려고 하였으나 지금 서장을 보니 냉랭하게 대할 것 같다고 하니 어떻게 하면 좋겠는가?”
...
-
조부총의 관사에 거둥하여 접견례를 행하다.
진시에 상이 조부총(曹副総)의【조희빈(曹希彬)】 관사에 거둥하여 접견례를 행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행장(行長)은 여러 왜적 중에 가장 사나우니 만약 유독부(劉督部)의 군대가 아니었다면 어떻게 겁을 줘서 도망가게 하였겠소. 우리나라가 다시 살아난 ...
-
상이 통판 여민화의 관소에 거둥하다.
상이 통판 여민화(黎民化)의 관소에 거둥하였다.【관량통판(管粮通判)으로 위인이 온화하고 단아하여 다른 장수에 비하여 조금 관대하였다.】통판이 말하기를,
“전일에 국왕의 변무주본을 보니 그 뜻이 매우 좋았습니다. 그리고 관왕묘의 신에게 울며 고했다고 ...
-
일본의 정관 평성통이 와서 명나라에서 사신을 보내 갑병 5천을 보내줄 것을 청하였다고 말하다.
이때 우리나라가 불행하여 명나라의 존망이 경각에 달려 있었다. 일본의 정관 평성통(平成統)이 와서 말하기를,
“명나라에서 사신을 보내 갑병 5천을 보내 구원해 줄 것을 요청하였는데 일본이 명나라와는 본래 외교의 의리가 없기 때문에 군대를 출동하지 않...
-
예조가 문위역관이 가져가는 서계에 왜관이 변을 일으킨 일을 언급하자고 아뢰다.
예조가 아뢰기를,
“문위역관(問慰譯官)이 가져가는 서계 가운데에 왜관이 변을 일으킨 일도 아울러 언급하는 것은 이미 성명이 있었으니, 승문원을 시켜 묘당에 의논하여 지어 보내게 하소서.”
하니, 그대...
-
제주목사 노정이 일본으로 향하다가 표류한 한인 등을 배를 차비하여 돌려보낸 것을 밀계하다.
제주목사 노정(盧錠)이 비밀히 치계하기를,
“5월 25일 표류한 한인 심삼(沈三) · 곽십(郭十) · 채룡(蔡龍) · 양인(楊仁) 등 머리를 깎은 자 22명과 머리를 깎지 않은 자 43명이, 중국옷을 입거나 혹은 오랑캐 옷, 혹은 왜인 옷을 입고 있...
-
대마도에서 차왜를 보내 왜관을 옮기는 문제에 대해 청하였으나 허락지 않다.
대마도에서 또 차왜 평성지(平成之)를 보내어 예조에 글을 바쳐 왜관을 옮기는 일에 대해 거듭 여쭈었는데, 조정에서 또 참판의 이름으로 된 글로 답하였다.
“서신이 잇따라 이르니 깊이 위안이 됩니다만 왜관을 옮기겠다는 청에 대해서는 저번에 답한 글에 ...
-
남구만이 울릉도에 관한 일을 아뢰어, 접위관을 보내 맞바로 회빈작주하는 짓을 책망하게 하다.
당초에 남구만(南九萬)이 울릉도(鬱陵島)에 관한 일로 임금에게 아뢰어, 접위관을 보내 맞바로 회빈작주(回賓作主)회빈작주(回賓作主)맡아보는 사람을 제쳐놓고 제멋대로 일을 체잡거나 상대방의 의사를 무시하고 방자하게 구는 것.하는 짓을 책망하게 하기로 의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