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성 ․ 기자헌 ․ 이계록 ․ 송순 ․ 신흠 ․ 임현 ․ 허성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구성(具宬)을 홍문관 부응교에, 기자헌(奇自獻)을 이조좌랑에, 이계록(李繼祿)을 병조좌랑에, 송순(宋諄)을 강원도사에, 신흠(申欽)을 사헌부 지평에, 임현(任鉉)을 회양부사(淮陽府使)에, 허성(許筬)을 겸관상감교수에 제수하였다.
-
장령 유영순 등이 거제의 거사와 관련하여 체직을 청하다.
장령 유영순(柳永詢)·이철(李鐵), 지평 송순(宋諄)이 아뢰기를,
“신들이 삼가 비변사의 계사를 보니 ‘거제의 거사가 끝나지도 않았는데 외간에 혹시 조정에서 적을 공격하는 것을 금한다고 전파된다면 장수와 사졸이 조정의 뜻을 몰라 군정이 해이해질 것이다.…
-
영의정 등을 인견하여 일본 ․ 중국의 외교 문서의 처리 등의 일을 논의하다.
오시에 상이 편전에 나아가 영의정 유성룡(柳成龍), 행판돈녕부사 정곤수(鄭崐壽), 좌찬성 최황(崔滉), 호조판서 김수(金睟), 형조판서 신점(申點), 행판결사 윤선각(尹先覺), 병조판서 한효순(韓孝純), 호조참판 성영(成泳)을 인견하였다. 행도승지 강신(姜紳)…
-
조강에 ≪주역≫을 강하고, 부세의 무거움, 사대부의 사치 등에 대해 논의하다.
조강에 영사 김응남(金應南), 지경연 최황(崔滉), 특진관 조인득(趙仁得)·이노(李輅), 승지 이덕열(李德悅), 사간 최관(崔瓘), 지평 송순(宋諄), 옥당 정경세(鄭經世)·윤경립(尹敬立), 주서 이덕온(李德溫), 사관 김신국(金藎國)·신설(申渫)이 입시하였다…
-
왕이 대신 및 비변사 당상을 불러 왜적을 방비하는 것에 대해 논의하다.
상이 대신및 비변사 당상을 명패(命牌)로 불렀다.【영의정 유성룡(柳成龍), 판중추부사 윤두수(尹斗壽), 지중추부사 정탁(鄭琢), 경림군(慶林君) 김명원(金命元), 호조판서 김수(金睟), 예조판서 홍진(洪進), 병조판서 이덕형(李德馨), 상호군 이일(李鎰), 상…
-
김시헌 ․ 송순 ․ 김순명이 해직을 청하며 오로지 복수군에 전념하겠다고 하다.
승정원 우부승지 김시헌(金時獻), 동부승지 송순(宋諄), 지평 김순명(金順命)이 소를 진달하여【소는 위에 보인다.】해직을 청하며, 오로지 복수군(復讎軍)에 전념하겠다고 하니, 전교하였다.
“적을 토멸할 의지가 절실하여 소를 진달함이 이와 같으니 보기에 …
-
분의복수군이 남교에서 회맹하다.
분의복수군(奮義復讐軍)이 남교(南郊)에서 회맹(會盟)하였다. 부모의 원수가 있는 사람은 김시헌(金時獻)·유영순(柳永詢)·송순(宋諄) 등 7백여 인이고, 종실과 동성으로는 하원군 정(鋥)과 좌참찬 이헌국(李憲國)이고, 이성자손으로는 달성위(達城尉) 서경주(徐景霌…
-
사헌부가 가족을 피난시킨 관원들의 처벌, 전황 전달 체계의 정비 등을 건의하다.
사헌부가 아뢰기를,
“국운이 불행하여 6년 동안을 적과 대치하고 있으므로 군신 상하가 모두 창을 베개 삼고 분투 노력할 것을 생각하고 있는데, 사대부들은 약간의 소동만 있어도 종묘 사직의 위급함은 생각지도 않고 곧장 도망갈 계책만 …
-
비변사가 경주와 대구 지방에 파견할 중국군의 군량 조달에 대한 대책을 아뢰다.
비변사가 아뢰기를,
“제독이 4~5천 명의 군사를 진천(鎭川)을 경유해서 경주와 대구 지방에 보내려고 하는데, 이 부근의 고을들은 왜적의 피해를 너무 심하게 입었으므로 행군 중에 식량을 공급하기가 어려울 것이며 머무는 곳에 식량을 …
-
사간 정경세가 복수군을 제대로 운용하지 못한 죄로 체직을 간하다.
사간 정경세(鄭經世)가 아뢰기를,
“복수군을 처음 둘 적에 장수를 신으로 계하하셨습니다. 그뒤 본군의 장수 송순(宋諄)이 삼영의 사후(伺候) 임무를 맡게 되자 상께서 다른 사람을 본군의 장수로 임명하시면서 또 신으로 계하하셨습니다. 신이 시종 명을 받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