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화관에 거둥하여 왜인과 야인에게 술을 내리다.
모화관(募華館)에 거둥하여 활 쏘는 것을 구경하니, 양녕대군 이제·효령대군 이보·임영대군 이구·영응대군 이염·익녕군 이치·계양군 이증·밀성군 이침·익현군 이관·영해군 이당·의성군 이심·순성군 이애·오산군 이주·영순군 이부·원천경 이의·의평군 이원생·귀성윤 이준…
-
근정전에서 조하를 받고 회례연을 베풀다.
근정전(勤政殿)에 나아가 조하를 받고 회례연(會禮宴)을 베풀었다. 왕세자가 술을 올리고, 효령 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영응대군(永膺大君) 이염(李琰)·영순군(永順君) 이부(李溥)·귀성군(龜城君) 이준(李浚)·은산부정(銀山副…
-
효령대군 이보가 원각경 수교를 마쳐 잔치를 베풀다.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가 일찍이 원각경(圓覺經)을 수교하였는데, 이에 이르러 일을 마치었다. 임금이 사정전(思政殿)에 나아가 잔치를 베풀어 위로하니, 왕세자와 이보(李補)·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 영응대군(永膺大君) 이염(李琰)·영순군(永順君…
-
일본국 사신 융원을 인견하고 사신을 보낼 수 없음을 알리다.
사정전(思政殿)에 나아가 일본국 사자 중 융원(融圓) 등을 인견하고 잔치를 베푸니, 세자와 효령대군 이보(李補)·영순군 이부(李溥)·귀성군 이준(李浚)·하동군 정인지(鄭麟趾)·봉원군 정창손(鄭昌孫)·고령군 신숙주(申叔舟)·상당군 한명회(韓明澮)· 능성군 구치관…
-
행호군 김호인이 대마도로부터 돌아와 복명하다.
행호군(行護軍) 김호인(金好仁)이 대마도로부터 돌아와서 복명하니, 임금이 귀성군 이준(李浚)으로 하여금 전지하게 하기를,
"잘 돌아와서 심히 기쁘다."
하고, 이어서 도주가 관대한 여러 가지 일을 물으니, 김호인이 대답하기를…
-
이준을 삼도 순찰사로 삼다.
이준(李準)을 삼도 순찰사로 삼았다.
-
이준을 겸 삼도 순찰사로 삼았다가 대간의 반대로 파견하지 않다.
이준(李準)을 겸 삼도 순찰사로 삼았는데, 대간(臺諫)이 불가하다고 논하여 끝내 보내지 않았다.
-
좌의정 윤두수 등을 인견하고 괄군하는 일, 각도 군사를 체찰하는 일을 논의하다.
좌의정 윤두수(尹斗壽), 행 예조판서 윤근수(尹根壽), 우찬성 최황(崔滉), 부제학 김응남(金應南), 공조판서 한응인(韓應寅), 병조판서 이항복(李恒福), 호조판서 이성중(李誠中), 서천군(西川君) 정곤수(鄭崐壽), 행 이조참판 구사맹(具思孟), 대사헌 이덕형…
-
좌상 윤두수가 이제독에게 가려하자 인견하여 위로하고 경성수호 등을 논의하다.
좌의정 윤두수(尹斗壽)가 제독의 군전(軍前)에 나아가려고 하면서 아뢰기를,
“신이 지금 직사를 형편없이 처리했다는 것으로 군전에 나아가게 되었으니 한번 죽는 것밖에 다른 생각은 없습니다. 다만 선위하시겠다는 전교를 받고부터는 온편치 않다는 생각이 들어 …
-
사간원이 종묘 사직의 예를 행한 후 과거를 시행하고, 이준의 파직을 청하다.
사간원이 아뢰기를,
“종묘와 사직의 예도 아직 거행하지 못하였는데 먼저 선성(先聖)을 알현하는 것은 실로 체통에 맞는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과거를 베풀어 인재를 뽑는 것을 평소 한가한 때와 같이 한다면 명나라 사람이 보고 듣는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