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적을 이간시킬 첩문을 만들어 성안에 떨어뜨리라는 일을 논의하다.
상이 첩문 한 통을 지으라고 명하였다. 그 대략에 이르기를,
“명조의 대장군 이제독(李提督)이 벌써 계양(薊陽) · 요동(遼東)의 군병 7만, 선부(宣府)의 군병 3만, 대동(大同)의 군병 3만, 묘만(苗蠻)의 군병 8만, 천진...
-
비변사가 이제독이 주본을 올려 군량 등을 주청했으니 치하하자고 아뢰다.
비변사가 아뢰었다.
“삼가 접반사(接伴使) 한응인(韓應寅)의 장계를 보건대, 제독(提督)이 유병 하는 일에 대하여 성심껏 말하였다 하니 매우 고맙고 다행한 일입니다. 5천 명의 병사로써의 연해에 있는 요해처를 나누어 지키기에는 ...
-
유격 주홍모를 접견하고 ≪여지승람≫을 보이면서 부산에 항상 왜호가 있었다는 설을 해명하다.
상이 남별궁으로 행행하여 유격 주홍모(周弘謀)를 접견하였다. 상이 말하기를,
“송대인(宋大人)은【즉 경략 응창(應昌)이다.】지금 어디에 있소? 우리나라의 군민이 송대인의 은덕을 잊지 못하고 있소이다.”
하니, 주유격이 말하기를,
“내가...
-
비변사가 중국에서 원병을 출발시키기로 했다고 아뢰다.
비변사가 회계하기를,
“윤근수(尹根壽)와【빛나는 재주가 소탕하고 청아한데 논하는 자들은 그를 간회한 사람이라 하였으니 너무 지나친 것이 아닌가.】김수(金睟)가【일에 임하여 정밀하게 살폈는데 영남의 방백(方伯)이 됨에 미쳐서는 공...
-
조선의 형세와 방어 ․ 군량 등에 관한 병부의 자문.
병부가 보낸 자문은 다음과 같다.
“조선의 위기가 조석을 다투고 있으므로 일을 다시 지연시키기 어렵다 하여 방어에 관한 급한 일을 성명께 삼가 바로 개진해서, 일을 맡은 여러 관원을 엄히 신칙하여 속히 기회를 보아 착실히 거행함...
-
이덕형이 장수와 병졸들이 마을에서 행패를 부리는 상황을 아뢰다.
접반사 이덕형(李德馨)이 치계하기를,
“중국군이 돌아간 뒤 장수와 병졸들을 거의 검섭하지 않아서 가는 곳마다 사단을 일으키고 있는데, 안동에 주둔한 선부(宣府) · 대동부(大同府)의 병마와 마제독(麻提督) 표하의 달병들이 더욱 심하게 행패를 부리고 ...
-
군문 접반사 김명원이 치계하다.
6435. 군문 접반사 김명원이 치계하다.
군문 접반사 김명원(金命元)이 치계하였다.
“양과관(楊科官)이 통군정(統軍亭)에서 군문(軍門)·경리(經理)와 모여 전공을 사감하고 고시를 내었는데 ‘철수할 여러 장수들은...
-
유경 심유경이 병부의 첩으로 왜장을 타이르다.
유격 심유경(沈惟敬)이 다시 와서 병부의 첩으로 왜장을 타일렀는데, 그 첩에 이르기를,
“유격 장군 심유경이 갖춰 올린 제장과 제승의 각 편지 및 투구와 갑옷 제물을 조정에 바쳐 조공하기를 바라는 뜻을 표한 것을 살펴보고서, 본부에서는 비로소 너희들...
-
의주부윤 임경업이 황제가 일본과 유구를 침범하여 토벌하려고 하고 있다고 한 것을 아뢰다.
의주부윤 임경업(林慶業)이 치계하기를,
“본주에 사는 전 판관 최효일(崔孝一) 등이 일찍이 한인 장수기(張壽祺)와 서로 알고 지냈습니다. 수기가 배를 타고 와서 효일을 만났는데, 효일이 그쪽 사정을 묻자, 몰래 말하기를 ‘황제가 일본 · 유구 · 안...
-
왕동지를 접견하고 식량 문제 등을 의논하다.
상이 남별궁(南別宮)에 거둥하여 왕동지(王同知)【왕이길(王㹫吉)】를 접견하였다. 상이 재배례하고 말하기를,
“대인이 우리나라를 위하여 멀리서 달려와 주었는데, 마침 과인에게 절박한 사삿일이 있어서 나아가 마중하지 못하여 대인을 대우하는 예를 잃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