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풍천 ․ 광암 등지의 수비 문제에 대해서 논의하다.
황해도감사가 계하기를,
“신이 수군첨절제사와 함께 풍천(豊川) ․ 광암(廣巖)의 병선을 옮겨 정박하는 것이 편리한가 편리하지 않은가를 살피었는데, 은율현(殷栗縣)은 해구(海口)와의 거리가 10여 리에 지나지 않고, 왜선이 와서 정박하는 저…
-
황해도 초도에 나타났다는 왜선에 대해 조사하게 하다.
평안도도절제사가 삼화현(三和縣) 귀림곶(貴林串) 천호 김의덕(金義德)의 정문(呈文)에 의거하여 치보하기를,
“이번 11월 13일에 왜선 50여 척이 처음에 황해도 초도(椒島)에 나타났다가 덕도 북쪽으로 향했고, 또 1백여 척은 조압도(曹鴨島)에 나타났습…
-
초도 등지에 나타났던 왜선의 형적이 없음을 알려오다.
평안도감사가 치보하기를,
“초도(椒島)·덕도(德島) 등지에 형체를 나타내었던 왜선은 다시 나타나지 않았으며, 사람을 시켜 염탐하여도 전혀 형적이 없습니다.”
하였다.
-
전라도 발려도에서 체포한 왜인을 돌려보내며 종정성에게 보낸 공문.
병조에서 아뢰기를,
“전라도 발려도(鉢呂島)에서 체포한 왜인(倭人) 등은 비록 증명서를 가졌으나, 깊이 여러 섬 안에 들어와서 횡행한 것은 매우 온당하지 못했으니 이 뜻으로 우선 타일러서 돌려보내고, 또 예조로 하여금 종정성(宗貞盛…
-
의정부에서 병조의 첩정에 의거해 소나무에 관한 감독 관리에 대해 상신하다.
의정부에서 병조의 첩정에 의거하여 상신하기를,
“병선(兵船)은 국가의 도둑을 막는 기구이므로 배를 짓는 소나무를 사사로 베지 못하도록 이미 일찍이 입법을 하였는데, 무식한 무리들이 가만히 서로 작벌하여 혹은 사사 배를 짓고, 혹은 …
-
전라도 우수사 김경석이 장계하여 왜노의 토벌을 아뢰다.
전라도우수사 김경석(金景錫)이 장계하였다.
“진도군(珍島郡)의 초도(草島) 외면에 왜노 7~8명이 상륙하였으므로 초순군(哨巡軍)이 추격하여 싸워서 한 명을 베었습니다.”
-
홍문관 부제학 윤춘년 등이 용병에 대해 차자를 올리다.
홍문관 부제학 윤춘년(尹春年) 등이 차자를 올렸는데, 그 대략에,
“삼가 생각하건대, 왜노의 환란이 금년에 터졌는데 뜻하지 않은 때를 틈타 일어났으므로 아주 참혹하였습니다. 민심이 경동하여 의심하지 않는 일이 없어 왜구들이 흑산도(黑山島)에 들어와 산다…
-
간원이 난리 중에도 폐농하지 말 것을 팔도의 감사에게 하교할 것을 아뢰다.
간원이 아뢰기를,
“전라우도 수사 최호(崔豪)는 왜적이 몰래 초도(草島)에 정박하였을 때 적의 선봉을 보고는 지레 겁을 먹고 후퇴하여 피하고 진격하지 않았고, 남도포만호(南桃浦萬戶) 정걸(丁傑)이 홀로 진격하여 힘껏 싸워서 전선의 …
-
간원이 방호지를 가선대부로 가자한 것을 개정할 것을 아뢰다.
간원이 아뢰기를,
“신들이 병서를 살펴보니 이른바 군공이란 것에도 각각 등급이 있었습니다. 소수로 다수의 적을 격파하는 것이 으뜸이고, 숫자가 서로 대등한 것이 다음이며, 다수로 소수의 적을 격파하는 것이 가장 하등으로, 적의 강약…
-
전라우도 수사 오흡의 왜적을 나포한 장계를 비변사에 내리다.
전라우도수사 오흡(吳潝)의 왜적을 나포한 장계를 비변사에 내렸다.【계본에 이르기를 ‘왜선 한 척이 초도(草島)에 정박했는데 포작간(鮑作干) 등이 남도포권관(南桃浦權管) 채연홍(蔡淵洪)에게 보고했습니다. 연홍이 군관 등을 데리고 진격해서 접전하여 한 배에 왜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