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국 대마주 종성직 등이 토물을 바치다.
일본국 대마주 수호대관(守護代官) 평조신(平朝臣) 종우마조성직(宗右馬助盛直)과 상군(上郡) 추포(追浦)의 평조신 종백기수무차(宗伯耆守茂次), 평조신 종정국(宗貞國)과 상송포(上松浦)·호자(呼子) 일기수(一岐守) 원의(源義) 등이 각기 사람을 보내어 와서 토물을…
-
일본국 대마주 종언칠정국 등이 토물을 바치다.
일본국 대마주의 평조신(平朝臣) 종언칠정국(宗彦七貞國)과 평조신 종우위문성홍(宗右衛門盛弘)과 평조신 종우마조성직(宗右馬助盛直)과 관서로(關西路) 비축통수(肥筑通守) 국지(菊池) 등원조신위방(藤原朝臣爲邦) 등이 각기 사람을 보내어 와서 토물을 바쳤다.
-
일본사신이 우리나라를 통해 중국에 조공하기를 청했으나 언사가 불손하여 거절하다.
일본국이 현소(玄蘇)·평조신(平調信) 등을 시켜 내빙하고는 우리나라를 통하여 중국에 조공하려고 하였는데 그 언사가 불순하여 조정에서는 이를 거절하였다. 김우옹(金宇顒)·이덕형(李德馨)·유근(柳根) 등을 번갈아 선위사로 삼았다.
-
통신사가 일본에서의 행적을 보고하다.
통신사의 서장에,
“신들은 지난 7월 21일에 일본의 왕도에 들어갔으나 11월 7일에야 비로소 명을 전할 수 있었습니다. 11일에 그곳을 떠나 사포(沙浦)에 이르러 19일까지 유숙하고 20일에야 비로소 서계를 받았는데 서계에 문제가 되는 글자가 있었으므…
-
왜적이 강화를 요청하자 이덕형 등과 논의하다.
이날 왜적이 대동강 동편에 말목을 박아 글을 매달아 놓고 돌아갔는데 그것을 가져다가 보니 적장 평행장(平行長)·평조신(平調信)·평의지(平義智) 등이 강화를 요청하는 일이었으며, 또 이덕형(李德馨)과 선상에서 만나 무기를 버리고 대화하자고 하였다. 상이 덕형에게…
-
비변사가 중국군 장수와 주고 받은 왜적의 정세 및 조선의 형세에 대한 문답.
중국에서 군사를 내어 구원하려고 왜의 정세와 우리나라의 형세를 조목으로 물었다. 비변사가 조목에 따라 진술하였는데, 그 문답의 대략은 다음과 같다.
1. 문:왜노의 분명한 수효는 얼마이며, 어떤 정세이고, 어디에 잠복하고 있는가?
…
-
삼성추국의 위관 윤두수가 반적 김덕회를 문초하다.
삼성추국의 위관(委官) 좌의정 윤두수(尹斗壽)가 아뢰었다.
“반적 김덕회(金德澮)에게 묻기를 ‘적장은 모두 몇 명이나 되며, 처음에 무슨 일로 침략해왔는가? 드러난 적의 정세를 남김없이 말하고, 적의 소행 또한 빠짐없이 공초하라. 적의 장기는 무슨 병기…
-
위관이 반적 김응관을 문초하다.
위관이 또 아뢰었다.
“반적 김응관(金應灌)을 전과 같이 힐문하였습니다. ‘너를 성천부사(成川府使)로 삼았다고 했는데 이것은 네가 자청한 것인가? 아니면 왜인이 제멋대로 분부한 것인가? 왜적들이 김덕회(金德澮)를 영유현령(永柔縣令)…
-
경상도 관찰사 한효순이 평의지 등의 서신을 치계하여 보내오다.
경상도 관찰사 한효순(韓孝純)이 치계하기를,
“평의지(平義智)와 평조신(平調信)이 화친을 청하는 서신을 방어사 김응서(金應瑞)가 보내 왔습니다. 신이 그 문자를 보니 왜적의 서신이 틀림없었습니다. 평의지의 서신 한통과 평조신의 서신 한 통을 같이 봉해서…
-
비변사에서 왜에게 반간계를 쓰는 일을 아뢰다.
비변사가 아뢰기를,
“적장 평의지(平義智)와 평조신(平調信) 등이 강화를 청한 서신은 군사 기밀에 관계되므로 그 처리를 신중히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그 답서를 대략 기초해서 들이니, 이러한 사연으로 경상감사에게 은밀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