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좌의정 유순정 등이 일본국 사신 붕중의 접대의 방법에 대해 의견을 내다.
좌의정 유순정(柳順汀)·우의정 성희안(成希顔)·여평부원군 민효증(閔孝曾)·이조판서 송일(宋軼)·좌찬성 이손(李蓀)·좌참찬 홍경주(洪景舟)·우참찬 신윤무(辛允武)·호조판서 장순손(張順孫)·예조판서 신용개(申用漑)·병조판서) 정광필(鄭光弼)·형조판서 이자건(李自健…
-
일본국왕이 붕중을 시켜 화친을 청하게 하다.
일본국왕이 대마도주에게 신칙하여 경오년 반란 때의 왜적(倭賊)을 베어, 붕중(弸中)을 시켜 머리를 함에 담아 와서 바치고 화친을 청하게 하였다. 처음에 홍문관(弘文館)이 상소하기를,
“웅천(熊川) 제포(薺浦)의 치욕을 아직 통쾌하게 씻지 못하였는데, 지…
-
경상우도 병마절도사 윤희평이 왜인의 조짐에 대해 상언하다.
경상우도 병마절도사 윤희평(尹熙平)이 대마도주의 서계에 따라 치계하기를,
“가연조기(加延助奇)【왜인의 별종 명칭.】 등이 군사를 일으키고 배를 집결하여 그 수가 몇 천만인지 알 수 없는데, 장차 유구국(琉球國) 및 대당국(大唐國)【곧 명나라를 말한다.】…
-
정원에 대마도주가 보낸 평조광의 접대문제를 논하게 하다.
정원에 전교하였다.
“대마도주(對馬島主)가 보낸 평조광(平調光)에게 당상직을 주는 것과 세사미(歲賜米)·세견선(歲遣船)에 대해서 경오년의 약조를 고쳐서 구례에 따라 허락하는 것이 마땅한가의 여부를 동반·서반 2품 이상과 예조 및 부…
-
평조광에게 세견선과 세사미를 더하는 것을 허락하지 말 것을 전교하다.
예조에 전교하였다.
“지금 조정의 의논을 보면, 의논이 일치하지 않다. 이적(夷狄)을 대하는 도의 요령은 너그러운 데 있고, 또 은혜와 위엄을 함께 행하여야 하는 것이니, 지금 평조광(平調光)이 화를 낸다고 해서 갑자기 약조를 고…
-
정원이 대마도에서 보내온 제일선 원강수의 일을 의논할 것을 아뢰다.
정원이 아뢰기를,
“대마도가 금년에 보내온 제일선(第一船)의 원강수(源康秀)가, 조구(調久)【조구가 적변에 대한 제보를 하였기 때문에 특별히 하사하였다.】가 특별히 30석을 받았다는 말을 듣고 곧 간교한 꾀를 내어 서계를 보고는 성…
-
동지경연사 홍섬이 서계를 마련할 때 대마도의 간사함을 나무라도록 청하다.
상이 조강에 나아갔다. 동지경연사 홍섬(洪暹)이 아뢰기를,
“대마도 왜인의 이랬다저랬다하고 교활하게 속이는 것에 대하여 신의로써 꾸짖을 수 없으니, 문제삼지 않는 것이 옳습니다. 지금 요시지(要時知)가 동자를 쇄환한 일을 두고 조정의 의논이 통일되지 않…
-
통신사를 3월 안에 차견하도록 명하다.
예조판서 홍섬(洪暹) 등이 대마도의 일로 대신들에게 의논해서 아뢰었다. 영의정 심연원(沈連源)은 의논드리기를,
“왕년에 왜적이 침범해온 지가 오래지 않았는데 빼앗았던 세견선(歲遣船)을 환급한다면 일이 두려워하는 데 관계되므로 어렵게 여긴 것입니다. 만약…
-
대사헌 홍담 등이 통신사 파견의 불가함을 차자하다.
대사헌 홍담(洪曇) 등이 차자를 올렸다.
“신하의 잘못은 독단보다 큰 것이 없고 임금의 잘못은 편청(偏聽)보다 더 중한 것이 없습니다. 독단하게 되면 나라를 이롭게 하려는 뜻을 지녀도 천박한 견해의 실수가 있게 마련이고 편청하게 되면 성효(成效)가 있기…
-
지평 유승선 등이 대마도에 통신사 보내는 일을 의논하다.
상이 조강에 나아갔다. 지평 유승선(柳承善)이 아뢰기를,
“조종조에서는 왜인들을 후대하였는데 지금은 대우가 너무 박해서 상물을 무역하는 데도 그들의 요구를 따르지 않아서 노여움이 이미 극도에 이르렀고 변방의 흔단도 이미 열렸습니다. 그들의 교활한 술책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