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에 대한 회사품과 회례사에 대해 의논하다.
우부대언(右副代言) 권맹손이 아뢰기를,
“일본국왕(日本國王)이 새로 즉위하였을 때에 일찍이 박서생(朴瑞生)을 명하여 통신사(通信使)로 보냈던바, 서생이 돌아올 때에 즉시 답례하지 않고, ‘뒤에 마땅히 사람을 보내서 답례로 방문하게 하겠다.’ 고 하였습니…
-
의정부에서 일본정벌에 참여한 김방경과 사신으로 다녀온 정몽주의 제사를 지내도록 아뢰다.
의정부가 예조의 정문에 의거하여 아뢰기를,
“…… 또 원나라의 세종(世宗)이 군사를 보내어 일본을 다시 정벌하면서 고려로 하여금 이를 주관케 하자 충렬왕(忠烈王)이 김방경에게 모두 명하여, 원수로 삼고 가서 정벌하게 하였습니다. 위…
-
대사헌 윤금손 등이 왜인 접대 등에 대해 의견을 내다.
조강에 나아갔다. …… 시강관(侍講官) 이자화(李自華)가 아뢰기를,
“왜인 접대는 국가의 큰일이니, 재상들이 모두 이해를 의논하여 옳다고 생각한 다음에는 즉시 시행해야 하는데, 지금 널리 의논하였으나 의논이 각각 다르고 삼정승의 의논도 한결같지 못하니,…
-
쌍검 사용법을 훈련시키는 일을 논의하다.
전교하기를,
“옛날 사람이 쌍검(雙劍)을 쓴 지는 오래이다. 염민(冉閔) 같은 사람은 왼손에 쌍인모(雙刃矛) 오른손에 구극(鉤戟)을 잡고 군사를 공격하였고, 고황제(高皇帝)의 맹장 왕필(王弼)은 쌍검을 휘두르며 위오왕(僞吳王)의 군…
-
비변사가 경상도 도신으로 하여금 명산대천과 동해 등에 제사를 지낼 것을 청하다.
비변사가 아뢰기를,
“전쟁 이후로 사전(祀典)을 거행하지 않아 산천의 제향을 중단했으므로 송구한 듯합니다. 옛날에 사안(謝安)은 진(秦)나라 군사를 만났지만 아독(牙纛)을 가지고 장산(蔣山)의 산신에게 기도하였고, 명나라 초기에 고…
-
상이 진어사의 처소에 가서 그를 접견하다.
상이 진어사(陳御史)의 처소에 행행하여 접견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대인이 군사를 나누어 둔수하면서 왜적의 절발을 방어하도록 허락하였으니, 황은이 망극한 것은 물론 대인들의 덕택에 대해서도 사례드릴 길이 없소. 예로부터 대적을 한번에 소탕시킨 적은 없…
-
경리접반사 이덕형이 중국 장수들이 군량 확보에 등한한 조선을 비방한다고 아뢰다.
경리접반사 이덕형(李德馨)이 아뢰기를,
“영남의 군량이 고갈된 민박한 정상을 이미 누차에 걸쳐 경리에게 직접 말하였으므로 경리도 그 사정을 알고 있을 터인데, 경리와 군문·어사·안찰이 상의했다는 말을 들어보면 그들 말이 ‘조선에서는 비록 식량이 고갈되었…
-
대신들과 함께 양경리가 참소당한 사정과 중국에 보낼 자문에 대해 논의하다.
상이 별전에 나아가 대신 및 비변사의 유사당상을 인견하였는데, 영의정 유성룡(柳成龍), 해원부원군 윤두수(尹斗壽), 행지중추부사 정탁(鄭琢), 좌의정 이원익(李元翼), 우의정 이덕형(李德馨), 호조판서 한응인(韓應寅), 병조판서 이항복(李恒福), 좌승지 허성(…
-
진주사 최천건, 서장관 경섬 등이 배사하니 양호를 신변하는 주본을 올리다.
진주사 최천건(崔天健), 서장관 경섬(慶暹)이 배사하였다. 주본은 다음과 같다.
“조선국왕은 삼가 대군이 이미 모였는데 무신이 탄핵을 입어 사람들이 모두 의혹스럽게 여기고 있어 사기가 그르쳐지게 되었으므로 성명께서 실상을 통찰하고 속히 결단을 내려 진정…
-
공조판서 양성지가 대마도 사람을 후대하도록 상서하다.
공조판서 양성지(梁誠之)가 상서하였는데, 그 상서는 이러하였다.
“신은 엎드려 보건대, 주상 전하께서는 영명하고 관고하신 자질로 선성의 부탁의 중함을 받아서 대보를 이어 등극하시어, 정성을 다하여 정치에 힘쓰셨으니, 먼저 방납을 혁파하여 우리 일국의 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