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헌부가 강화의 신임부사 이거를 체차하고 양천현감 윤기헌을 파직시킬 것을 아뢰다.
6457. 사헌부가 강화의 신임부사 이거를 체차하고 양천현감 윤기헌을 파직시킬 것을 아뢰다.
사헌부가 아뢰기를,
“강화부는 경기 지방의 요충지인데 요사이 수령이 자주 바뀌는 통에 이미 극도로 탕…
-
광국공신 황정욱에게 식물을 주도록 도승지 최천건에게 전교하다.
도승지 최천건(崔天健)에게 전교하였다.
“광국공신(光國功臣) 황정욱(黄廷彧)이 황해도 내에 있다고 한다. 식물(食物)을 제급할 것을 황해감사(黃海監司)에게 하서하라.”
【사신은 말한다. 임진왜란 때에 황정욱은 김귀영(金貴榮) 등과 함께 왕자를 보…
-
중전이 수안에 있을 때 공을 세운 최흥원 등에게 상을 내리다.
6546. 중전이 수안에 있을 때 공을 세운 최흥원 등에게 상을
내리다.
비망기로 일렀다.
“중전이 수안에 머물러 있을 때 처음부터 끝까지 호위한 영중추부사 최흥원…
-
경기방어사 권준이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권응원 등에게 상을 내릴 것을 청하다.
6669. 경기방어사 권준이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권응원 등에게 상을 내릴 것을 청하다.
경기방어사 권준(権俊)이 장계하기를,
“지금 광주(廣州)에 사는 전 주부 이응길(李應吉) 등 25명이 연명으로 정장하였는데,…
-
지중추부사 이일이 북쪽 오랑캐에 대한 대책과 의병의 포상 ․ 진관법 등에 관해 아뢰다.
6690. 지중추부사 이일이 북쪽 오랑캐에 대한 대책과 의병의 포상·진관법 등에 관해 아뢰다.
지중추부사 이일(李鎰)이 차자로 아뢰기를,
“여러번 북방의 소임을 맡았던 신의 입장에서 삼가 변방의 사정을 살펴보건대, …
-
좌의정 이항복이 왜적의 침입에 대한 방비책을 논하는 차자를 올리다.
6692. 좌의정 이항복이 왜적의 침입에 대한 방비책을 논하는 차자를 올리다.
좌의정 이항복(李恒福)이 차자로 아뢰었다.
“신은 상심이 누적되어 질병이 되었고 그 질병이 오래되어 고질이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1년을 …
-
이항복 ․ 이산해와 남방 방비책 ․ 마정 ․ 군공 ․ 봉화법 ․ 도적 대책 ․ 관왕묘 건립 등의 문제를 논의하다.
6693. 이항복·이산해와 남방 방비책·마정·군공·봉화법·도적 대책·관왕묘 건립 등의 문제를 논의하다.
좌의정겸도원수(左議政兼都元帥) 이항복(李恒福)과 영의정 이산해(李山海)를 인견하였다.【도승지 유희서(柳煕緒), 가주서(…
-
전라우도 수군절도사 김억추가 해안의 방비책과 병기 문제에 대해 아뢰다.
전라우도 수군절도사 김억추(金億秋)가 장계를 올렸다.
“본도 순찰사 한효순(韓孝純)의 품의에 대한 조정의 분부에 의거하여 신이 전선 11척을 거느리고 고금도(古今島)를 지키는 동시에 부근을 통망하기에 마땅한 선산도(仙山島) · 완도(莞島) · 지도(智島…
-
사도 도체찰사로 남방을 순찰한 이항복과 농황 ․ 요역 ․ 관방 ․ 수령 ․ 적정 ․ 전세 등에 대해 논의하다.
6743. 사도 도체찰사로 남방을 순찰한 이항복과 농황·요역·관방·수령·적정·전세 등에 대해 논의하다.
사도도체찰사겸도원수의정부좌의정(四道都體察使兼都元帥議政府左議政) 이항복(李恒福)이 남방에서 올라왔다. 상이 별전에서 인견…
-
행판중추부사 이덕형이 대마도에 대한 대책을 논하다.
6764. 행판중추부사 이덕형이 대마도에 대한 대책을 논하다.
행판중추부사 이덕형(李徳馨)이 상차하기를,
“삼가 들으니 중국은 군대를 완전히 철수하기로 하고 제장(諸將)들이 떠날 준비를 하고 있다고 합니다. 현재 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