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조가 신하들을 죄 주는 일은 공론을 기다려 행하기를 청하다.
이조가 아뢰기를,
“양경이 수복된 후에 크게 작은 죄를 진 신하들이 조정에 모여들었는데 자세히 분별하여 정상에 따라 죄를 주는 것은 해조에서 마음대로 할 수 있는 바가 아니니, 해조에서 먼저 본직을 체직시킨 뒤에 공론을 기다려야 할…
-
상이 비변사 당상과 왜적의 형세에 관해 논하다.
상이 별전에 나아가 비변사 당상을 인견하였다.【영의정 유성룡(柳成龍), 판윤 김명원(金命元), 병조판서 이덕형(李德馨), 지중추부사 유근(柳根)․신점(申點), 동지중추부사 조경(趙儆), 부제학 이정형(李廷馨), 호조참판 노직(盧稷), 동지중추부사 유영경(柳永慶…
-
상이 비변사 당상과 명사의 배신문제를 논하다.
상이 별전에 나아가 비변사 당상을 인견하였다.【영의정 유성룡(柳成龍), 우의정 이원익(李元翼), 우찬성 최황(崔滉), 지중추부사 유근(柳根), 동지중추부사 윤선각(尹先覺), 부제학 이정형(李廷馨), 우부승지 윤담무(尹覃茂), 집의 유대정(兪大禎), 헌납 우준민…
-
상이 별전에서 무사의 시재와 노을가적을 위한 잔치 등에 대해 논의하다.
상이 별전에 나아가 선전관 몇 사람을 시험보였다. 상이 이르기를,
“옛날에 장수 재목이 선전관에서 많이 나왔기 때문에 가려서 차임하였다.”
하였다. 시관 김명원(金命元)이 아뢰기를,
“평시에는 무…
-
모화관에서 오유충을 영접하다.
오부총병【오유충(吳惟忠)】이 왔는데, 상이 모화관(慕華館)에 행행하여 맞아 위로하였다. 사시 정각에 동가하자 왕세자가 궐문 밖에서 지송(祇送)하고 다시 문학 성이문(成以文)을 보내 모화관에서 문안하니, 알았다고 전교하였다. 초혼에 송석경(宋錫慶)이 총병에게 문…
-
접반사를 고관으로 차임하고, 용렬한 고부군수 원지를 체차하다.
정언 성이문(成以文)이【대사간 이희득(李希得), 헌납 이상신(李尙信).】와서 아뢰기를,
“복관의 사단을 봉입한 일로 색승지(色承旨)를 파직하고 동참한 승지를 추고할 일과 사복시제조(司僕寺提調)를 추고할 일과 이후의 거둥은 반드시 정원에 하교하여 거행할 …
-
사헌부가 사대부들의 피난을 적발하지 못한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하다.
대사헌 이기(李墍), 집의 권춘란(權春蘭), 지평 성이문(成以文)이 아뢰기를,
“이와 같이 위급한 때를 당하여 인심이 흉흉한데, 도하에는 내전이 장차 피난 하려 한다는 소문이 전파되고 있어 경동하지 않는 자가 없습니다. 만약 이런 때에 그런 거조가 있으…
-
장령 송준, 지평 오백령이 언관의 출사를 건의하여 허락받다.
장령 송준(宋駿), 지평 오백령(吳百齡)이 와서 아뢰기를,
“대사헌 이기(李墍), 대사간 이희득(李希得), 집의 권춘란(權春蘭), 사간 남이신(南以信), 지평 성이문(成以文), 헌납 이상신(李尙信), 정언 조즙(趙濈) 등이 모두 인혐하고 물러났습니다. …
-
관곡과 처자를 배에 싣고 도망친 전라좌우후 이몽구를 처단하기로 하다.
장령 이함(李諴)이【대사헌 이헌국(李憲國), 집의 민몽룡(閔夢龍), 지평 성이문(成以文).】와서 아뢰기를,
“신들이 삼가 어제 조보를 보니, 조경의 머뭇거린 일을 비변사에 하문하시었습니다. 간관이 들은대로 논계하였는데 그들이 들은 바는 보통 우연히 들은…
-
중전을 수행한 관원들의 추고 등을 명하다.
장령 이함(李諴)이【대사헌 이헌국(李憲國), 집의 민몽룡(閔夢龍), 지평 성이문(成以文).】와서 아뢰기를,
“중전이 마전군(麻田郡)에 행차하여 나루를 건널 때에 배가 적으면 같이 가는 하인들은 얕은 여울로 건너서라도 서로 먼저 건너려고 소요를 일으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