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조에서 왜인 사신의 상경 경로를 아뢰다.
예조에서 아뢰기를,
“일본국왕과 좌무위(左武衛) 대내전(大內殿)의 사인 이외에 제도의 객인들에게는, 차사원이 이미 일찍이 미두와 염장(鹽醬)과 주미(酒米)를 준비 저장하여서 어떤 때는 3일에 1번, 어떤 때는 5일에 1번씩 내어 주며, 어…
-
종정성이 보낸 선척을 고르게 갈라서 들어오게 하다.
의정부에서 예조의 정문에 의거하여 아뢰기를,
“종정성이 보낸 선척은, 이미 내이포(乃而浦) ․ 염포(鹽浦) ․ 부산포(富山浦) 등 세 곳에다 고르게 갈라서 정박하도록 하였는데, 아직도 갈라서 정박하지 않고 모두 내이포에다 정박하오니…
-
집현전부교리 양성지가 올린 비변에 대한 열 가지 방책.
집현전부교리(集賢殿副校理) 양성지(梁誠之)가 비변(備邊)에 대한 열 가지 방책을 올렸는데, …… 여섯째에 이르기를,
“상보(城堡)를 수선하고 관방(關防)을 정할 것입니다. 대개 군진(郡鎭)이라는 것은 국가의 울타리이므로, 임금이 험한 곳에 성보를 설치하…
-
병조에서 각도의 내지에도 거진을 설치하고 인근 고을을 익에 분속시킬 것을 청하다.
병조에서 아뢰기를,
“각도 연해의 요해지에는 진을 설치하고 진장(鎭將)을 두어 그 방어를 견고히 하고 있으나, 내륙의 주현에는 아직 진을 설치하지 않아서 만약 구적(寇賊)이 발생하여 변진이 감히 이를 막지 못하게 되면, 반드시 마구…
-
명나라 사신이 왔을 때 왜인으로 입조한 자의 거취에 대해 의논하다.
주서(注書) 조익정(趙益貞)을 보내어, 신숙주(申叔舟)에게 묻기를,
“예조에서 아뢰기를, ‘구례로는 명나라 사신이 올 적에는, 왜인으로서 내조한 자가 포구를 떠나지 않았으면 포구에 머물게 하고, 이미 떠났으면 도착한 여러 고을에 머물게 하였다.’ 하니,…
-
대내전 사송 원숙이 주홍의 무역을 요청하니 공무역으로 하다.
예조에서 대내전의 사송 원숙(元叔)의 편지 2통을 가지고 와서 아뢰었는데, 그 하나에는 이르기를,
“원숙은 머리를 조아리며 예조에 글을 받들어 올립니다. 어제 주홍(朱紅)의 일을 이루지 못하니, 침묵하기 어렵습니다. 그런데 혹은 반분이든지 혹은 값을 감…
-
판중추부사 이극균 등이 경안 등의 역로 ․ 양재, 찰방의 피폐한 정황에 대해 논의하다.
판중추부사 이극균(李克均)이 아뢰기를,
“경안(慶安)의 일로는 광주(廣州) 덕풍역(德豊驛)에 원거인 3호, 경안역(慶安驛)에 원거인이 5호, 이천(利川) 아천역(阿川驛)에 원거인 3호, 오천역(五川驛)에 원거인 5호, 음죽(陰竹) 유춘역(留春驛)에 원거…
-
감찰 박전이 왜노 문제를 걱정하며 정벌하자고 상소하다.
감찰 박전(朴佺)이 상소하니, 그 대략에 이르기를,
“신이 듣건대, 제포·부산포·염포의 왜인은 조종조에 있어서 거접하기를 허락한 호수가 60으로, 그 나머지는 곧 쇄환하게 하였다 합니다. 그래서 그 형세가 고약하며 억세지 않고 잘 길들어, 신하를 일컫고…
-
안윤덕이 최임을 보내어 승전을 아뢰니 최임에게 싸운 절차를 묻다.
부원수 안윤덕(安潤德)이 군관(軍官) 최임(崔林)을 보내어 첩서를 아뢰기를,
“본월 19일 신시에 군관 강윤희(康允禧)·곽한(郭翰) 등이 전장으로부터 치보하기를 좌·우도 방어사 및 병마절도사 등이 군관을 보내어 세 패로 나누어 적을 치고 주사가 또 이르…
-
경상도 안동의 생원 이포가 백성들이 고생하는 내용의 상소와 그림을 올리다.
경상도 안동(安東)에 사는 생원 이포(李苞)가 상소하면서 백성들의 고생하는 모양을 그림으로 그려 올렸다. 그 상소에,
“…… 수군은 나라에서 외적을 막기 위해 설치한 것입니다. 그러나 만호들은 이들을 포로같이 여겨 온갖 방법으로 학대하고 매질을 하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