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별전에서 주청 ․ 봉공, 이정암의 처리 문제 등을 논하다.
상이 별전에 나아가 판중추부사 최흥원(崔興源), 해평부원군 윤근수(尹根壽), 판돈녕부사 정곤수(鄭崑壽), 우찬성 최황(崔滉), 호조판서 김명원(金命元), 이조판서 김응남(金應南), 좌참찬 성혼(成渾), 형조판서 신점(申點), 병조참판 심충겸(沈忠謙), 대사간 …
-
비변사 양사 옥당 등이 주문하는 일과 섭정국이 도성의 지세를 살필 일을 아뢰다.
상이 편전에 나아가 비변사·양사·옥당을 인견하였는데, 영부사 심수경(沈守慶), 해평부원군 윤근수(尹根壽), 서천군 정곤수(鄭崑壽), 우찬성 최황(崔滉), 호조판서 김명원(金命元), 이조판서 김응남(金應南), 형조판서 신점(申點), 대호군 조경(趙儆), 병조참판…
-
대신들이 주문하는 일, 전염병을 구제하는 일을 논하다.
영중추부사 심수경(沈守慶), 판중추부사 최흥원(崔興源), 해평부원군 윤근수(尹根壽), 서천군(西川君) 정곤수(鄭崑壽), 이조판서 김응남(金應南), 호조판서 김명원(金命元), 병조판서 심충겸(沈忠謙), 도승지 장운익(張雲翼), 지평 박승종(朴承宗), 헌납 최관(…
-
정언 장만이 내수사의 노비들을 군사에 보충할 것을 아뢰다.
정언 장만(張晩)이 와서 아뢰었다.
“북도의 방비가 매우 허술한데 난리를 겪은 뒤로는 잔파됨이 더욱 심합니다. 그러나 국력이 왜를 방비하는 데 고갈되어 북방에 대해서는 한가지 일도 마음을 쓸 겨를이 없어 본도의 정장(精壯)마저 뽑아다가 남방으로 내려보냈…
-
정언 장만이 북도의 내노들은 부방하게 하는 일과 이춘란의 일을 아뢰다.
정언 장만(張晩)이 와서 아뢰기를,
“북도의 내노들을 부방하게 하시고, 이춘란(李春蘭)은 체차시키소서.”
하니, 답하기를,
“변장(邊將)이란 자가 직무에 삼가지 않아 대단치 않은 좀도둑들이 날뛰게 하였고, 현재 적변이…
-
정언 장만이 북도의 내노들을 부방시킬 일을 아뢰다.
정언 장만(張晩)이 와서 북도의 내노(內奴)들을 부방시킬 일을 아뢰니, 답하였다.
“전에도 내노를 특별히 부방시킨 적이 있었는데, 변장들이 별양(別樣)의 사람들이라고 여겨 거리낌없이 침탈하고, 내노 보기를 관서에서 황군(黃軍) 보는 정도일 뿐이 아니었다…
-
사헌부가 가족을 피난시킨 관원들의 징계 등을 건의하다.
사헌부가 아뢰기를,
“호군 유영경(柳永慶)·박응복(朴應福), 우윤 유자신(柳自新), 호조참판 심우승(沈友勝), 지평 장만(張晩), 부수찬 윤의립(尹義立)은 모두 재상과 시종으로서 국가의 위급함은 생각하지 않고 먼저 자기 가속들을 피…
-
장만이 진상물 운송, 말안장 보급 문제, 이함의 체직 문제 등을 건의하다.
지평 장만(張晩)이【대사헌 강신(姜紳), 집의 최관(崔瓘), 장령 성이문(成以文)이다.】와서 아뢰기를,
“근래 민력이 고갈되어 각도에서 진상물을 운송할 때에 그들의 고달픔이 갖가지여서 매우 불쌍하고 참담합니다. 이번에 대가가 남하하시게 되면 길이 더욱 …
-
이원익이 홍여순 ․ 민몽룡 ․ 변방 ․ 양식 등의 일을 아뢰다.
6660. 이원익이 홍여순·민몽룡·변방·양식 등의 일을 아뢰다.
오시에 상이 별전에 나아가 대신을 인견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내가 중국 장수들을 접대하느라 일이 많았고 몸에도 병이 있어 오래…
-
대신들과 중국군의 주둔을 요청하는데 따른 제반 문제와 일본과의 강화 문제 등을 논의하다.
상이 시어소(時御所)의 별전에 나아가 영의정 이산해(李山海), 완성부원군 이헌국(李憲国), 경림군 김명원(金命元), 지사(知事) 신점(申點), 예조판서 심희수(沈喜寿), 병조판서 홍여순(洪汝諄), 호조판서 신잡(申磼), 이조판서 임국로(任国老), 행호군(行護軍…